(사진=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가 8세대 드라이브 하이페리온(Drive Hyperion) 플랫폼으로 자율주행차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등 자율주행에 필요한 기술을 장착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 자율주행차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단 설명이다.

엔비디아는 26일, 8세대 하이페리온을 올해 안에 자사의 드라이브 에코시스템에 제공할 계획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8세대 하이페리온 플랫폼은 자율주행차 개발에 필요한 센서와 고성능 컴퓨팅,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 솔루션이다. 모두 즉시 검증과 보정, 동기화가 가능하다.

플랫폼 중앙에는 두 개의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Drive Orin)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이 장착됐다. 이 SoC는 12개의 외부 카메라와 3개의 내부 카메라, 9개의 레이더, 2개의 라이다 센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할 수 있다. 레벨4 자율주행을 위한 컴퓨팅 성능도 제공한다.

하이페리온은 자율주행 시스템 검증에도 용이하다. 엔비디아 드라이브 AV와 드라이브 IX 소프트웨어 스택과 호환할 수 있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평가와 검증이 가능하다.

하이페리온은 이미 중요한 자율주행 연구 개발 과정을 간소화시키는 데 사용되고 있다. 버지니아공대 교통연구소(Virginia Tech Transportation Institute)나 스탠퍼드 대학과 같은 기관들은 자율주행차 연구 파일럿에서 하이페리온을 활용 중이다.

엔비디아 측은 "바퀴 위의 데이터센터라고 불리는 자율주행차 개발에는 완전히 새로운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며 "하이페리온은 AI 기능과 자율주행에 필요한 기술을 자동차에 장착하는 데 필요한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주는 개방형 자율주행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 엔비디아, 새로운 GPU는 아직? 젠슨 황 "암페어 NEXT 내년 공개"

[관련기사] 'CPU 장착' 엔비디아, 인텔·AMD 위협하는 XPU 기업으로 거듭나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