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와 KT가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공동으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연구소’ 설립에 나선 것.

KT 구현모 대표와 KAIST 이광형 총장이  ‘AI·SW 기술연구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KT는 올초 AI2XL(AI To Everything Lab) 연구소와 AI 로봇사업단을 신설하고 데니스홍 교수 등을 영입하며 AI 사업 가속화에 내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KAIST와 본격적인 협력을 통해 AI 원천기술과 산업기술을 아우르는 R&D를 고도화 하고 미래 인재 육성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양측은 KT가 보유한 대덕2연구센터에 'AI·SW 기술 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연내 공식 출범시킬 계획이다.

대전시 유성구 카이스트(KAIST) 본원 본관에서 KT 구현모 대표(좌측)와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우측)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T제공)
대전시 유성구 카이스트(KAIST) 본원 본관에서 KT 구현모 대표(좌측)와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우측)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T제공)

KT는 교수와 연구원, KT 직원 등 약 200명이 상주할 수 있는 R&D 공간 마련과 전용 GPU 서버팜 구축 등 연구 인프라 지원에 나선다.

양측은 AI·SW 기술 연구소가 최첨단 인프라,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연구인력, 상용 서비스와 연구 현장을 아우르는 KT와 KAIST 방대한 데이터 등 ‘초거대 AI’ R&D를 위한 준비된 역량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KAIST의 우수한 역량과 KT의 AI 기반 사업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원천 기술과 산업 AI(Industry AI) 분야에서 총 20개의 초기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원천 기술과 관련해서는 음성, 비전, 휴머니스틱 AI(인간중심 AI) 등 15개의 미래지향적인 연구과제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사람과 유사한 대화와 추론, 음성·영상·센싱 등 복합 정보 기반의 정교한 상황 인지와 답변이 가능한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또한 미디어, 헬스케어, 로봇 등 산업 AI 분야에도 초기 5개 과제를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더 나아가 GPT-3 이후 차세대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등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AI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포스트 AI 시대’를 이끌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창업을 희망하는 KAIST 학생을 대상으로 KT가 가진 역량을 활용해 공간, 장비, 인력 등 보육 인프라도 지원할 계획이다. 공동 연구 참여를 통해 역량이 입증된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장학금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AIST 이광형 총장은 “KT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통한 차별화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훌륭한 AI R&D 파트너”라며, “향후 AI·SW 기술 연구소를 통해 학계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도 의미 있는 혁신 기술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KT 구현모 대표는 “내부 AI 역량 집중과 함께 AI원팀 조성, 스타트업 발굴 등 다양한 외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온 가운데, 이번 KAIST와 공동 연구는 KT의 AI R&D 도약과 사업 저변 확대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며, “국내 최고 산학 공동 프로젝트로 자리매김 시키고 고객 삶의 변화와 산업 DX를 선도할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 기사]KTㆍ우리은행ㆍ한국IBM 손잡다…‘AI 랩’으로 금융권 AI 고도화

[관련 기사]KT-현대중공업, AI·디지털 인재 양성으로 만나다...첫 워크숍 개최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