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청 강연을 맡은 더스틴 무디 박사(왼쪽)와 데미안 스틸레 학부장(오른쪽)(사진=KAIST)
초청 강연을 맡은 더스틴 무디 박사(왼쪽)와 데미안 스틸레 학부장(오른쪽)(사진=KAIST)

KAIST(총장 이광형)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이 '2021 국제양자내성암호 학술대회(Post Quantum Cryptography, PQCrypto)'를 20일 개최한다.

행사는 20일 오후 1시(한국시각)부터 22일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인 줌(Zoom)과 유튜브(youtube)를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다.

국제양자내성암호 학술대회는 양자내성 암호 분야 세계 최고 학술대회다. 양자컴퓨터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암호·인증 기술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와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다. 2006년부터 유럽·미주·아시아를 순회해 개최 중이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양자내성 암호 표준 개발 책임자인 더스틴 무디(Dustin Moody) 박사와 프랑스 리옹 고등 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 de Lyon)의 컴퓨터공학과 데미안 스텔레(Damien Stehle) 학부장이 초청 강연자로 발표한다. 이외 엄선된 논문 25편이 소개될 예정이다.

발표 논문 주제는 래티스(Lattice)를 이용한 난제, 다변수 다항식 문제를 이용한 방식, 부호 문제를 이용한 방식, 아이소제니(Isogeny)를 이용한 방식, 해시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한 방식 등이다.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안전성 분석, 부채널 정보를 이용한 공격 방식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도 공개된다.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를 양자내성암호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한국·일본·프랑스의 준비 상황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 총괄을 맡은 김광조 KAIST 전산학부 교수 겸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은 “신 사이버 공격에 대응해 장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블록체인, 5G·6G 이동통신 암호체계, 차세대 인터넷 보안 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등을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행사에는 35개국 출신의 연구자 400여 명이 사전 등록을 완료한 상태다. 전 세계 최소 10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1 국제 양자내성암호 학술대회’ 관련 자세한 안내사항과 무료 참여 등록 절차는 행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관련기사]KAIST 연구팀, 엣지 DRL 실현하는 초고성능 AI 반도체 개발...IEEE VLSI 학회 우수논문 선정

[관련기사]KAIST 뇌공학과 교수들, 메타버스 연구에 성과 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