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간 원거리 백신 운송에 드론이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남 도서지역에서는 드론으로 생필품 배송도 아직 상용화되지 않아 기술 도입 격차가 심하다는 지적이다. 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셔터스톡 제공). 
국가간 원거리 백신 운송에 드론이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남 도서지역에서는 드론으로 생필품 배송도 아직 상용화되지 않아 기술 도입 격차가 심하다는 지적이다. 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셔터스톡 제공). 

해외에서 드론이 국가 간 백신을 원거리 운송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남 도서지역에 생필품 수송도 아직 되지 않아 기술 도입 시기를 앞당기고, 예산적·정책적 지원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도는 세계경제포럼(WEF)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하늘에서 온 의료’ 프로젝트를 통해 백신을 인도 전역에 나르기 시작했다. 인구수가 두 번째로 많은 인도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치솟아 의료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드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절박한 현실을 극복하려고 하고 있다. 남부의 카르나타카, 텔랑가나 등 여러 주에서 테스트 중이다.

그렇다면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전남 섬지역은 어떨까? 전남도는 드론 배달 사업을 추진 중이다. 완도군은 지난해 4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지역 밀착형 드론 배달점 설치 사업’ 공모 사업에 선정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생필품을 배달할 수 있는 택배 드론도 구비돼 있지 않는 실정이다. 올해 말 택배 드론을 구입하고 내년에 시범운행을 해 2023년에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기 때문이다.

완도군 지역 밀착형 드론 배달점 설치 사업 1구역(완도읍, 고마도, 사후도, 토도) 완료. (사진=완도군 제공).
완도군 지역 밀착형 드론 배달점 설치 사업 1구역(완도읍, 고마도, 사후도, 토도) 완료. (사진=완도군 제공).

현재는 드론이 비행 위치를 찾고 원하는 지점에 물품을 배달할 수 있는 드론 배달점만 구축해 놓은 상태이다. 지난해 말 완도군은 총 8개 권역에 37개소의 배달 거점(5개), 중계점(3개) 포함한 드론 배달점(29개)를 설치했다. 최대 10kg을 싣고 10km를 오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앞서 고흥군·보성군에서는 각각 25곳‧7곳에 드론을 띄우고 착륙할 수 있는 거점·중계점·배달점 32개를 구축했다.

올해 완도군이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 배달점 8곳을 추가 설치를 하려고 요청 했지만 관련 사업에 선정되지 못했다. 군 관계자는 “8개 권역에 총 37곳의 배달점을 지정했다”며 “올해 추가적으로 8곳의 배달점 설치를 요청했지만 사업에 선정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배달점 확대 및 시범운영' 지자체로 선정돼 드론배송을 시범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계획 상 상용화 시점은 2년 후이다. (사진=전남도 제공).
전남도는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배달점 확대 및 시범운영' 지자체로 선정돼 드론배송을 시범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계획 상 상용화 시점은 2년 후이다. (사진=전남도 제공).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전남 섬지역에 드론 도입이 사업 계획 상 2년 정도 남아 해외에 비해 상용화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전문가는 “국가적인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도서지역에 의료품, 백신 수송 등이 가능한 드론 도입이 시급이 이뤄져야 한다”며 “해외에 비해 코로나팬데믹 상황에서 드론 도입이 더디다”고 강조했다.

섬 지역 주민들이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여 시급한 도입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완도군 보길도에서 사는 김 씨(58)는 “택배를 받으려면 며칠은 기본"이라며 "날씨가 계속 안 좋으면 하염없이 기다릴 때도 있어 드론을 빨리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구아현 기자 ahyeon@aitimes.com

[관련기사] 광주시,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닻 올렸다

[관련기사] 고흥군, 5G 드론·AI기반 '스마트 영농' 시대 연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