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핵심 과제인 ‘블루 이코노미’ 프로젝트가 사업 3년 차를 맞이한 가운데 광범위한 백화점식 사업 나열이 아닌 선택과 집중을 통해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4일 광주전남연구원과 남도일보가 주최한 ‘블루이코노미지원연구센터 학술 세미나’에서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의 향후 전략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의가 이뤄졌다.
농어촌지역의 인구소멸 위기와 쇠락은 가속화되고 있다. 전남도는 그동안 1차 산업에 집중됐던 산업구조에서 4차산업혁명을 융합한 주력 산업 구조로 전환, ‘블루 이코노미’로 전남 지역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2023년 전남도에 대한 국고보조 지방이양사업에 따른 3년 한시 보전이 끝나 국비 지원 규모가 4000억 원 이상 급감할 것으로 보여 전남 ‘블루 이코노미’ 생태계 조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광범위한 사업 늘리기 벗어나 도민 체감형 성과 내야
블루 이코노미는 현재 6대 프로젝트(블루 에너지·블루 투어·블루 바이오·블루 트랜스포트·블루 농수산·블루 시티)로 분야별 전체 사업과제 수만 해도 121건이다.
김우관 남도일보 본부장은 “블루 이코노미 사업이 너무 광범위해 출입 기자들조차 파악하기 쉽지 않다”며 “눈에 띄게 손에 쥐어지는 성과가 없다는 것도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에서 이를 점검해 단기적, 중기적, 장기적 프로젝트로 명확히 구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블루 이코노미’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재영 광주전남연구원장은 “전남도 최대 과제인 만큼 이를 총괄하는 별도의 조직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블루 이코노미 관련 사업에서 타 시도와 겹치는 사업이 무엇인지 점검해 같은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담대한 기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보 강화해 주민 참여 적극적으로 이끌어야
전남도민 대상 ‘블루 이코노미’ 사업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박재영 광주전남연구원장은 “전남은 고령층이 많아 블루 이코노미 프로젝트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며 “홍보를 강화해 도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주민주도형 관광기반 사업도 강조됐다. 박창규 전남도립대 교수는 “블루투어는 하나의 브랜드”라며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소규모 단위의 주민 생활이 더욱 중요해진 만큼 농·어촌 살림에 대한 콘텐츠를 블루투어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의 특성을 담는 사업을 중심으로 블루투어의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고 홍보를 통해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안 해상풍력 사업 추진으로 발생하는 주민 갈등도 언급됐다. 황의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해상풍력에 대해 주민들과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과 전통 농업과 스마트 농업이 상충되면서 발생하는 갈등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기반 스마트 농업 활성화로 청년층 사로잡아야
전남 지역의 농촌 발전과 청년층을 유인하기 위해 AI 기반 스마트 농업 활성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의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고흥에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에 있어 청년층을 유입할 수 있는 AI 기반 스마트팜을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지역에서 드론 영상 데이터 활용이 활성화가 안 돼 아쉽다”며 “자율주행 기반 노지 스마트팜 등 AI를 접목한 농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층의 농촌 유입을 위해 원격교육과 다양한 교육 콘텐츠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AI타임스 구아현 기자 ahyeon@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