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개관한 에너지파크에 대한 시민들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전은 지난달 28일 광주광역시와 협력해 상무시민공원에 미래 에너지 중요성을 알리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에너지파크를 열었다. 전기의 역사부터 시작해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등 미래도를 엿볼 수 있는 전시관이다.
에너지파크는 총 4만 1750㎡ 부지에 다양한 에너지 관련 전시물과 놀이시설이 설치돼 있다.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체험·교육의 장’이라는 주제에 걸맞게 ▲전기의 가치와 에너지산업 발전을 소개하는 ‘에너지홀’ ▲기후환경 변화와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소개하는 ‘그린 플래닛’ ▲4차산업 기술과 전기의 가치와 필요성을 보여주는 ‘스마트에너지’ ▲미래 에너지에 대해 관람객이 체험하는 ‘에필로그’ 등 4개관으로 꾸며졌다.
13일에 찾은 전시관 내부에는 평일 오후 시간임에도 네다섯 명의 시민들이 구경을 하고 있었다. 첫 번째 홀에서는 전기의 역사와 전기 생산·소비에 관한 핵심내용을 알려주는 빔프로젝터 영상이 보였다. 이를지나 옆 홀로 옮기면 앞으로 상용화 될 지속가능한 에너지 모델에 대한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린 플래닛관에서는 전기수소 자동차 체험, 태양광·태양열이 일상에서 어떻게 쓰일지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는 체험 공간이 마련돼 있다. 스마트 에너지관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와 이를 활용한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체험 시설을 볼 수 있다.
이날 친구와 에너지파크를 찾은 초등학생 5학년 한 모양은 가장 재밌는 체험이 뭐였냐는 질문에 “자율주행 모형자동차”라고 답했다. 이어 “자율주행 자동차는 아직 비싸고, 완벽(완전)하지 않다고 들었다”며 “많은 사람들이 수소전기차부터 타야 지구환경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각각의 홀에는 게임처럼 미래 에너지를 체험할 수 있는 ID카드 장치가 붙어있다. 이 ID카드는 기기 전원 스위치 같은 것으로, 한전 소속 전시해설사가 ID카드를 갖다 대면 체험기기가 켜진다. 한전 관계자는 “아직 개관한 지 한달도 안 되었지만 주말의 경우 평균 30명의 방문자가 찾는다”며 “가이드는 토요일 11시~12시, 1시~2시에 진행한다”고 말했다.
에너지파크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아침 10시부터 5시까지 무료로 오픈한다. 올해 말까지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시민들에게 알리는 사랑방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AI타임스 박혜섭 기자 phs@aitimes.com
- [AI 법제도 따져묻기] ③"스마트시티 법률은 아직 만들어가는 단계, 수요자인 시민 의견 적극 반영해야"
- 아주대 연구팀, 사람 손 모양한 의료용 소프트 로봇 ‘그리퍼’ 개발
- 네이버, 'NeurIPS 2021'서 8개 논문 채택...산학협력과 R&D 투자가 비결
- 과기정통부,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총회 개최...기원테크 등 국내업체 제품 소개
- "돼지 구제역 확산 막는다" ETRI, AI 가축 방역 시스템 아디오스 개발
- 페이스북, 1인칭 시점 AI 개발 프로젝트 'EGO4D' 발표..."AI가 주체성 가진다"
- 바둑 AI 만든 딥마인드, 이번엔 핵융합 발전에 포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