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의 자회사인 광주인공지능(AI)센터가 자율주행차 관련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사업에 두각을 보이고 있다. 광주인공지능센터는 모회사인 솔트룩스와 함께 차세대 자율주행차를 위한 초대규모 데이터 구축·학습이 가능한 AI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센터는 이를 기반으로 한국 도시 3차원 영상 데이터 구축과 차량 내·외부 상황인식 데이터 구축 및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3차원 영상 데이터 구축과 차량 내·외부 상황인식 데이터 구축을 위해 광주광역시와 데이터 라벨러 양성 교육도 시작했다. 데이터 구축사업에 필요한 인력들을 시와 함께 양성해 사업에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광주인공지능센터는 한국어 방언데이터 구축 사업 진행에서 전라도 방언 데이터 구축에 수천 명의 광주‧전남 인력들이 투입했었다.
솔트룩스 자율주행용 AI 학습 플랫폼은 다양한 도심 환경과 차량 내 사용자 행동을 인지해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해 AI가 학습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는 식이다. 데이터 정제·가공 역할을 수행하는 크라우드 워커에게 최적의 소싱 환경을 구현하며, 학습을 통한 데이터 품질 평가와 자율주행 모델 예측 등 기능을 하나로 통합 제공한다.
항공과 차량을 이용해 국내 도심 건물, 도로, 부속시설 등 대규모 라이다(LiDAR)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규모 라이다 데이터를 3D 영상 데이터로 구축한다. 운전자 이상 행동 감지 등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가공한다. 수집된 3차원 영상 데이터와 차량 내·외부 상황인식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AI 허브(aihub.or.kr)를 통해 민간에 공개될 예정이다.
김정태 솔트룩스 법인장은 “차세대 자율주행차의 고정밀 주행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 가상공간 구현을 비롯해 스마트관광과 보행약자 내비게이션 등 응용서비스 개발에도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며 “자율주행 산업 경쟁력 강화와 스마트시티 조기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솔트룩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 NIA)이 주최·주관하는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 가운데 자유 과제 ‘특수환경 자율주행 3D AI 데이터 구축’ 사업 수행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를 광주인공지능센터 주관해 모빌테크·인피닉·티디엘·광주과학기술원과 함께 구축했다.
솔트룩스 컨소시엄은 라이다, 카메라 및 위성측위 시스템·관성항법 장치(GNSS·INS)를 장착한 특수 차량으로 3D 라이다 및 일반 주행 영상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를 기상, 구조물,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시나리오에 반영해 10개 도시에서 각 4회(1회 최대 1시간) 주행 영상을 수집했다. 이를 통해 라이다, 카메라 주행 데이터 200만 장 이상(원시 데이터 300시간)을 2D-3D로 융합 가공해 데이터 셋 45만 개 이상을 구축했다. 이 사업을 통해 얻은 ‘특수환경 자율주행 3D AI 데이터는 ‘AI허브’에 2D-3D 융합 데이터의 필요성, 구축 내용, 데이터셋 구조, 예시 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AI타임스 구아현 기자 ahyeon@aitimes.com
[관련기사] '데이터 라벨러' 등 AI 일자리 광주에서 대거 늘어난다
[관련기사] 광주 AI 기업 중 상장사는 어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