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왼쪽에서 5번째)와 배진한 삼성중공업 경영지원실장(왼쪽에서 6번째) 등 양사 관계자들이 스마트 SHI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출처=한국마이크로소프트)
이지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왼쪽에서 5번째)와 배진한 삼성중공업 경영지원실장(왼쪽에서 6번째) 등 양사 관계자들이 스마트 SHI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출처=한국마이크로소프트)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삼성중공업과 조선소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협약으로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를 기반한 IT 솔루션과 기술 노하우를 활용, 저비용·고효율 조선소로의 전환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가장 먼저 시도할 작업은 가상 공간을 활용한 협업 체계 구축이다. 삼성중공업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애저(Azure)와 인공지능(AI), 협업 솔루션 팀즈(Teams), 메타버스 기술 등을 바탕으로 각 부문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디지털 가상 공간에 한데 모을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각 부서 및 협력사 간 협업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워크플로우를 효율화해 나갈 계획이다.

배진한 삼성중공업 경영지원실장(CFO)은 "조선소의 모든 정보를 첨단 IT 기술로 처리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스마트SHI'의 궁극적 목표"라며 "이는 초격차 친환경 기술과 함께 삼성중공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실현할 강력한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지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는 "삼성중공업의 디지털 전환이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에 기반한 최신 기술 및 솔루션을 통해 조선해양산업에서의 대표 IT 혁신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삼성중공업의 디지털 전환은 언제부터

삼성중공업은 2019년부터 '스마트 SHI(Smart Samsung Heavy Industries)’로 명명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수립했다. 이후 설계·구매·생산 등 조선소 전 영역에 걸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업무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 조선소 디지털 전환은 지금도 진행 중

거제 조선소 내에 초고속 무선망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업무 환경을 구축했다. 또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자동화 기술 등을 활용한 생산 체계 지능화,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통한 반복 사무 자동화 등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해운ㆍ조선업계, 인공지능 도입 열기가 뜨겁다...스마트십, 해운 물류, 선박 건조 등

[관련기사]유니티코리아 "메타버스 안에 유니티 있다"...새로운 시대 이끌어갈 기술 공급사될 것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