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연구진들이 이번 오픈소스 관련 국제표준 인증기관 선임과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출처=ETRI)
ETRI 연구진들이 이번 오픈소스 관련 국제표준 인증기관 선임과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출처=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오픈체인(OpenChain) 프로젝트' 표준 준수 기업으로 국제 인증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오픈체인 프로젝트는 2016년 리눅스 재단 주도로 각 기관의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대응 역량을 평가하는 제도다. 오픈체인은 지난 2020년 ISO 국제표준으로도 채택된 바 있다.

오픈체인에서 요구하는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역량 평가는 ▲오픈소스 정책과 거버넌스 시스템의 적정성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축 여부 ▲오픈소스 담당 조직과 인력의 전문성 ▲기관 구성원의 교육 수행 여부다.

ETRI는 해당 역량 평가를 통과해 오픈체인 프로젝트 표준 준수 기업으로 선임됐다.

ETRI는 2017년부터 오픈소스 전담조직인 오픈소스센터를 설립해 기관 차원 대응을 해왔다. 지난 2019년부터 본격적인 오픈소스 거버넌스 및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대응체계로 전환, ETRI 연구개발 활동 전반으로 확대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이번 오픈체인 인증 획득은 ETRI가 보유한 ▲SW 개발 전 주기 대응 오픈소스 SW 개발 프로세스 구축 및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오픈소스 라이선스 및 개발 도구 활용을 위한 주기적 교육 프로그램 ▲오픈소스 연구개발(R&D) 플랫폼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연구개발 환경 제공 등이 핵심 역량으로 인정받았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또 "이번 오픈체인 인증 획득으로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오픈소스 관리 및 개발 기관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김명준 ETRI 원장은 "오픈소스 문화는 이제 국가의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을 좌우하는 R&D 혁신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며 "타 기관과 협력을 견고히 해 건전한 오픈소스 활용 및 관리 체계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란

오픈소스 저작권 고지준수 및 라이선스 의무 충족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 이번 성과에 대한 ETRI 입장

최근 ICT 분야의 R&D 결과물이 대부분 소프트웨어(SW) 중심이고 오픈소스 중심이라는 점에서 이번 인증은 ETRI가 국제적으로 SW 개발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성과라고 밝혔다.

# 향후 ETRI 계획은

오픈소스 R&D 활동의 개방형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타 정부출연연구원 및 기업들과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건전한 오픈소스 SW 생태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ETRI, 280km 떨어진 스마트공장에서 원격 제어 시연 성공...국내에선 처음

[관련기사]ETRI, 5년간 AI API 37종 공개...누적 활용수 5400만건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