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제민 ETRI 선임연구원, 유미선 책임연구원, 권용인 선임연구원. AI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중간표현 표준을 제정하고 네스트 컴파일러를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사진=ETRI)
(왼쪽부터) 이제민 ETRI 선임연구원, 유미선 책임연구원, 권용인 선임연구원. AI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중간표현 표준을 제정하고 네스트 컴파일러를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사진=ETRI)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을 저렴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나왔다. 해당 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SW)간 호환성까지 가능하다. AI 반도체 개발에 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문제가 걸림돌이던 중소기업·스타트업의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AI 핵심 시스템 SW인 딥러닝 컴파일러 ‘네스트(NEST-C)’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개발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NEST-C 컴파일러 개념도. AI 핵심 시스템 SW다. 개발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사진=ETRI)
NEST-C 컴파일러 개념도. AI 핵심 시스템 SW다. 개발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사진=ETRI)

ETRI는 AI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공통 중간표현을 정의해 네스트 컴파일러에 적용했다.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AI 반도체에 있던 이질성을 해소했다. 해당 기술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으로도 제정됐다.

그동안 중소기업·스타트업은 반도체 설계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시스템 SW, 응용프로그램 개발·최적화에 큰 비용과 시간이 들어서다. 대형 제조사가 제공하는 시스템 SW는 자사 칩에 최적화됐을 뿐만 아니라 비공개로 개발돼 적용하기도 힘들었다.

컴파일러의 경우, 칩 종류와 AI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각각 다르게 개발해야 해 번거롭기까지 했다. 다시 말해 상호 호환성과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해당 기술은 범용성 높은 네스트 컴파일러 하나로 일체화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딥러닝 플랫폼 종류 x 칩 종류'만큼 컴파일러를 별도로 개발했다.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가 적용된 FPGA 임베디드 보드 위에서 네스트 컴파일러가 생성한 딥러닝 응용에 대한 실행 코드가 동작하는 모습. (사진=ETRI)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가 적용된 FPGA 임베디드 보드 위에서 네스트 컴파일러가 생성한 딥러닝 응용에 대한 실행 코드가 동작하는 모습. (사진=ETRI)

ETRI는 네스트 컴파일러를 오픈소스로 내놨다.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에 네스트 컴파일러를 적용한 참조 모델까지 공개했다. AI 반도체 개발용 SW와 하드웨어를 모두 선보인 건 이번이 최초다. 연구진은 현재 각각 개발되는 AI 반도체 환경에서 네스트 컴파일러가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의미 있다고 판단했다.

ETRI는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이 자체 개발한 고성능 반도체에도 해당 컴파일러를 적용했다. 관련 스타트 기업과 협업해 딥러닝 컴파일러 지원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SW 전문 기업을 통해 AI 반도체 적용 서비스 사업화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향후 AI 응용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성능을 한 단계 끌어올려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김태호 ETRI 차세대시스템SW연구실장은 "표준 딥러닝 컴파일러 오픈소스 공개는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함이다"며 "현재 다양한 AI 반도체 기업에 적용하기 위해 기술협력을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해당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시스템을 위한 뉴로모픽 컴퓨팅 SW 플랫폼 기술 개발'을 통해 이뤄졌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클릭 한 번으로 시스템반도체 설계...ETRI, 칩 자동설계 기술 개발

[관련 기사]ETRI, 280km 떨어진 스마트공장에서 원격 제어 시연 성공...국내에선 처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