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청사 모습. 전남도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조속히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전남도청 제공).
전남도 청사 모습. 전남도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조속히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전남도청 제공).

전남지역에서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지켜줄 보호망이 한층 더 두터워질 전망이다. 전남도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조속히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재난범죄 현장의 실시간 CCTV 영상과 위치 데이터를 지자체·소방·경찰 등 여러 기관들이 상황을 공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위기에 처한 도민들을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통합사회안전망' 상반기 중 완료 예정

전남도는 시군 CCTV관제센터를 도와 연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상반기 중에 조기 완료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통합사회안전망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남도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으로 도내 22개 시군 중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구례, 강진, 해남, 영암, 함평, 완도 등 11개 시군과 연계를 마쳤다.

앞서 전남도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으로 나주시 등 도내 11개 시군과 연계를 마쳤다. (사진=나주시 CCTV 통합관제센터).
앞서 전남도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으로 나주시 등 도내 11개 시군과 연계를 마쳤다. (사진=나주시 CCTV 통합관제센터).

올해는 나머지 담양·곡성·고흥·보성·화순·장흥·무안·영광·장성·진도·신안 등 11개 시군을 도와 연계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총사업비는 도비 20억 원, 시군비 15억 원 등 총 35억 원이다. 1월 발주를 마치고 6월 말까지 앞당겨 구축을 마칠 방침이다.

관계기관 재난범죄 현장 실시간 정보 열람 가능…골든타임 확보

이 사업 추진 전에는 경찰이 사건사고 수사목적으로 지자체가 운영하는 CCTV를 확인할 경우, CCTV관제센터를 직접 방문해 영상을 열람해야 했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구축되면 재난범죄 현장의 실시간 CCTV 영상을 112상황실, 경찰서, 경찰차, 119종합상황실, 도 재난안전상황실, 법무부 위치추적센터 등이 함께 실시간 상황을 공유한다. 도민의 안전, 교통, 시설 등을 24시간 감지분석 기능이 강화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방범·방재·교통 등 개별 서비스를 통합플랫폼과 연계해 112센터 긴급영상·출동을 비롯 ▲수배차량 검색 ▲119 긴급출동 ▲재난상황 긴급 대응 ▲전자발찌 착용자 위반행위 시 범죄 예방 등 서비스가 제공된다.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사업 추진 전에는 경찰이 사건사고 수사목적으로 지자체가 운영하는 CCTV를 확인할 경우, CCTV관제센터를 직접 방문해 영상을 열람해야 했다. (사진=나주시 CCTV 통합관제센터).
사업 추진 전에는 경찰이 사건사고 수사목적으로 지자체가 운영하는 CCTV를 확인할 경우, CCTV관제센터를 직접 방문해 영상을 열람해야 했다. (사진=나주시 CCTV 통합관제센터).

전남도 관계자는 “이 사업을 조속히 마쳐 안전관리 체계가 한 단계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재난범죄 취약지역에 고화질 CCTV와 지능형 소프트웨어 설치 등 지속적 지원으로 각종 재난과 범죄로부터 더 안전한 전남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관련기사] 크라우드웍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판매기업 선정

[관련기사] "국내 농업, 디지털 전환으로 경쟁력 갖춰야"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