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 인공지능사관학교(이하 ‘사관학교’) 3기 교육생을 위한 신규 교육장 구축에 본격 돌입했다. 교육생들의 편의를 개선하고 AI 시설과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광주시는 사관학교 3기 운영에 앞서 수료생들이 제기한 대중교통 편리성 등 접근성 개선 요구를 적극 수용해 광주과학기술진흥원(광주 북구 첨단과기로 339)에 위치한 사관학교 교육장 이전을 추진해왔다.
신규 교육장은 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대성학원빌딩(광주 동구 제봉로 92) 1~3층에 2534㎡(768평) 규모로 조성된다. 1층에는 운영사무실, 회의실, 직원휴게실, 그룹스터디, 카페테리아 등 네트워킹 공간 등이 들어서고, 2~3층에는 강의실(10실), 프로젝트실(휴게공간 겸용), 커뮤니티 공간, 강사 대기실 등이 마련된다.
인공지능 사관학교 교육장 구축계획(안)
운영사무실, 회의실, 직원휴게실, 그룹스터디 및 네트워킹공간
강의실(5실)*, 프로젝트실(휴게공간 겸용), 커뮤니티공간, 강사 대기실
* 가변형으로 프로젝트실 겸용 가능
∙강의실(5실)*, 프로젝트실(휴게공간 겸용), 커뮤니티공간, 강사 대기실
* 가변형으로 프로젝트실 겸용 가능
특히 기존 교육장과 비교해 그룹스터디 및 네트워킹 공간, 휴게공간 겸용 프로젝트실, 커뮤니티 공간 등 교육생들을 위한 휴게공간이 대폭 확충돼 교육생들은 당일 교육 종료 후에도 자유롭게 학습과 연구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또한 건물 외벽에는 사관학교를 상징하는 대형 로고 사인물을 설치해 단순한 교육시설을 넘어 지역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신규 교육장 예정지인 대성학원빌딩은 건축 당시부터 교육시설로 설계됐다. 기본적인 강의 설비가 구축돼 간단한 인테리어와 공간 개선작업만 거치면 곧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5월 중 개관할 예정이다. 새롭게 조성되는 교육장 인근에는 시가 운영하고 있는 인공지능(Al) 혁신공간인 AI창업캠프, AI종합지원센터, ICT콤플렉스가 위치해 있다.
∙(위치)
- (1호점) 광주 동구 금남로 193-22(609평)
- (2호점) 광주 동구 금남로 193-12(734평)
∙(내용)
- (1호점) 35개사 입주, 회의실‧편의시설 지원 등
- (2호점) 42개사 입주, AC/VC기업 회의실‧편의시설 지원 등
∙(위치) 광주 동구 제봉로 96(광주영상복합문화관 2~5층)
∙(내용) 과기부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사업에 따라 2020년 구축된 정보통신기술 융복합을 위한 개방된 창작 공간으로 SW개발 및 테스트, 창업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혁신거점
전국에서 유입된 우수한 교육생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본격 운영되면 사관학교 교육공간을 핵심축으로 교육생과 ICT개발자, 창업자 간 유기적 인적·물적 교류를 통해 취·창업이 촉진되고, 이를 통해 주변이 장기적으로 스타트업 중심의 AI산업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생 편의성 측면에서는 기존 교육장에 비해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접근성이 향상됐고, 희망할 경우 대성학원빌딩의 구내식당과 기숙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교육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또한 연중 다양하고 역동적인 문화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젊은 세대의 핫 플레이스로 각광받는 동리단길 카페거리가 인접해 장기간 교육에 지친 교육생들이 힐링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손경종 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전국에서 꿈과 열정을 가지고 인공지능사관학교에 참여한 교육생들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최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AI 로봇이 주문도 받고 조리·서빙도 하고"…소상공인들 '스마트화 바람'으로 숨통 트일까
[관련 기사] [기획] 민선 8기 직전에 짚어보는 'AI 광주' 비하인드 스토리 ④ 광주의 인공지능 시계는 멈추지 않아야 한다 (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