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드론, 자율주행 등에 사용할 차세대 전지 기술 선점에 본격 착수한다. 우선적으로 산·학·연으로 구성된 기획총괄위원회를 구성해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친다. 이를 통해 올해 하반기 중 ‘차세대 전지 초격차 R&D 전략’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과기정통부)가 이차 전지를 비롯해 수소연료 전지, 동위원소 전지 등 차세대 전지 분야의 초격차 기술 선점을 본격화한다고 10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전지’가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현재는 리튬이온 전지 중심으로 전지 시장이 형성됐다. SNE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에서는 국내 기업인 LG솔루션, SK온, 삼성SDI 시장 점유율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성장했다. 그러나 리튬이온 전지는 이론적 용량 성능과 가격 한계에 다다랐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최근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고체전지, 경제성이 뛰어난 나트륨이온 전지, 해수 전지 등 차세대 전지에 대한 기술 개발 필요성이 커졌다. 기술 선점 경쟁 또한 치열하다.
가장 대표적인 전지가 '수소연료 전지'다. 수소를 활용해 장기간 저장한 후 전기에너지로 쓰는 방식이다. 수소연료 전지 시장은 발전용이나 드론, 선박 등 새 분야 개척으로 시장이 향후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장수명화, 고성능화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난제들이 있다. 우선적으로 초격차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부터 의미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위원소 전지 기술도 떠오르고 있다. 온도나 압력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전력원이다. 10년 이상 사용 가능하다. 해당 전지 기술을 선점할 경우 경제적, 안보적 가치가 클 전망이다. 특히 우주, 심해 탐사와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국가필수전략기술과 국정과제에 포함된 이차 전지를 중심으로 수소연료 전지, 동위원소 전지 등 아양한 용도의 차세대 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를 목표로 뒀다”고 밝혔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KIAT,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