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연구실을 선정해 미래 기술 선점과 기업 난제 해결 및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국가 반도체 연구실 사업'을 추진한다.
세계적으로 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초격차 전략기술 육성으로 과학기술 G5 도약'이라는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지난 4월 '반도체・디스플레이・차세대전지 등 3대 주력기술 초격차 R&D 전략'을 발표한데 이어 5월에는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를 출범하는 등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국가 역량 총결집을 꾀하고 있다.
29일에는 이종호 장관이 고려대학교에서 '국가 반도체 연구실 착수 기념식'을 진행하고,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도 주재했다.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이번에는 9개 연구실을 선정, 이날 기념식에서 현판을 전달한데 이어 하반기에 10개 연구실을 추가 선정해 총 19개 국가 반도체 연구실을 지정ㆍ운영할 게획이다. 이들 국가 반도체 연구실에는 매년 5억원씩 5년 간 총 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국가 반도체 연구실 선정・평가에는 산업계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민간 수요 기반 차세대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향후 국가반도체연구실을 지원할 지식재산 및 산업기술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연구실 성과가 10년 이내에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이날 함께 개최한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에서는 '반도체 고급인력 현황 및 대응방안'을 주제로 반도체 산업협회가 발제한데 이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팹리스산업협회, 정부출연연구원 등이 반도체 전문인력 수요자 관점에서의 의견을 개진했다. 또 국가반도체연구실과 학회에서는 인력양성 기관 입장에서의 의견을 내놓았다.
과기정통부 외에 산업통상자원부와 교육부 등 반도체 인재양성 관계부처에서도 참여해 관련 정책과 향후 추진방안 등을 소개했다.
이종호 장관은 "반도체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훌륭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반도체 미래기술 개발과 고급인력 양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민관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를 적극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AI타임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