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수당이나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과 같이 서울시가 실시하는 정책 가운데 내가 지원대상이 될 경우 카카오톡 ‘서울톡’ 등을 통해 자동으로 안내받는 것은 물론 서류와 방문 없이 한 번에 신청까지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예측형 행정으로 시민 개개인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올해 3월부터 자체 TF팀을 구성, 6차 회의와 7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해당 사안을 논의해왔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은 서울시 분야별로 산재한 행정정보를 연결하는 통합관리체계다. 축적된 행정‧민간데이터에 AI 기술을 더해 대상자별로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먼저 안내해준다. 이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관심정보에 대한 단순 알림 서비스에서 한 단계 진화한 방식이다. 분야별, 기관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무 방문·무 서류 민원처리도 가능해진다.
시는 우선 내년부터 청년정책 관련 통합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청년몽땅정보통’에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민간데이터 등 다양한 플랫폼 간 데이터를 수집‧연계‧결합해 맞춤형 청년정책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시는 청년 등 특화분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교육, 복지, 교통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한다. 현 시스템을 분석하고 서비스 설계와 단계별 이행계획, 중장기 발전방안 등을 마련한다. 또 중앙정부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표준화 및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위한 법 개선 등은 정부와 연계해 협력체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혜경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청년 등 서울시가 우선적으로 추진 가능한 특화 분야부터 개인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우선 발굴해서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며 “서울시의 다양한 분야의 행정정보를 통합해 시민 여러분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개발 및 지원 구조를 마련, 디지털 플랫폼 서울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하 기자 yhkim@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