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은 축산분야에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을 접목해 가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트리플렛(TRIPLETS)'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ETRI가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으로 24시간 돼지 행동과 면역력을 분석해 설사병이나 호흡기 질환 같은 가축 질병을 조기 탐지한다. 또 다양한 환경에서 생산성 향상, 에너지 사용률 최적화, 공기 재순환 등을 종합 관리한다.
연구진은 트리플렛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TRIPLET-P)'을 적용해 디지털 가상 축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육밀도나 가축 그룹관리 등 축사 제어, 운영, 환경 변화를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했다.
ETRI 관계자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축산업에 적용한 것은 트리플렛이 처음"이라며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생산성을 최고 10% 이상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AI와 바이오센서를 활용하면 가축 스트레스 변화와 이상 징후까지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 행동을 IP 카메라로 24시간 상시 감시해 돼지 이상 징후를 분석한다. 또 축사 내 설치한 타액 추출기 모듈, 바이오센서로 돼지 스트레스와 면역력 상태 변화까지 파악할 수 있다.
ETRI는 공기 재순환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안전축사 시스템(TRIPLET-S)'과 '스마트 안전축사 농가용 통합 자율 운영 시스템(TRIPLET-A)' 등 축사 생산성 향상과 질병 초기 대응을 위한 기술도 접목했다.
김세한 ETRI 농축수산지능화연구센터장은 "농축산 분야 선도국과 기술격차를 줄이고 축산업 경쟁력 제고에 도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에 앞서 ETRI는 스마트 축사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엣지 플랫폼 'GEdge'를 개발한 바 있다. 축사에 설치한 센서, 카메라, 가축 영양 데이터 정보를 이용자에게 실시간에 가까운 속도로 전송해주는 플랫폼이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ETRI "AI 서비스 간편 생성·통합하는 플랫폼 구축 중"
[관련 기사]ETRI, '도시형 디지털 트윈 팜' 이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