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 구축에 활용되는 수치표고모형 (사진=국토부)
디지털트윈 구축에 활용되는 수치표고모형 (사진=국토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트윈 연계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시범사업의 성공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제공, 예측모형 고도화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8월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을 발표하며 집중호우 피해지역인 도림천(신림동) 유역에 대한 디지털트윈 연계 AI 홍수예보 체계를 시범구축하기로 했다. 정확한 예측모형 구축을 위해서 3차원 지형, 건물 입체모형, 하수관로 등의 고정밀 공간정보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국토부는 자체 수집·관리 중인 공간정보 활용에 대해 환경부와 협의했다.

디지털트윈 구축에 활용하는 3차원 공간정보에는 수치표고모형(1m), 정사영상(12cm), 3차원 건물 정보(LOD4) 등이 있으며, ‘지하공간통합지도’에서 구축한 하수관망 상세정보도 필요하다. 국토부는 보유 중인 3차원 공간정보를 우선 제공하고, 갱신이 필요한 공간정보는 올해 안에 추가 제공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양 부처는 추진사업 사례 공유, 전문가 자문 등 디지털트윈 공간정보 활용방안 논의를 위해 18일 세미나를 개최한다.

강주엽 국토교통부 정책관은 “디지털트윈 공간정보의 활용범위를 확대하여 우리 국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t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