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관계자들이 닥터지니의 방송 관제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사진=KT)
KT 관계자들이 닥터지니의 방송 관제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사진=KT)

KT(대표이사 구현모)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토대로 IPTV 실시간 방송 플랫폼을 관제하는 '닥터지니'를 개발해 상용화했다고 17일 밝혔다.

KT는 경기도 고양시 KT 그룹 미디어센터에 닥터지니를 적용, 370여개 비디오 채널과 30여개 오디오 채널의 실시간 송출을 담당하는 미디어센터 내 IPTV 방송 플랫폼을 자동으로 관제했다고 전했다.

닥터지니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부터 방송 신호를 입력 받는 인코더 장비를 비롯해 전송 네트워크 구간과 미디어 플랫폼의 방송 장비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여기에 네트워크 AI 기술로 장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해 원인을 진단한다.

특히 채널 장애, 장애인 방송 송출 오류, 광고 누락 등 장애를 탐지 및 분석해 원인과 위치를 음성과 보고서로 알려준다.

닥터지니를 활용하면 방송 플랫폼을 관제하는 데 드는 시간과 인력 등을 줄이고, 운용자가 파악하지 못했던 장애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객의 소리(VOC), 셋톱박스 상태, 시청률 현황 등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닥터지니는 AI 관제 기술을 인프라 외에도 서비스 영역까지 확대해 미디어 관제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한 솔루션"이라며 "향후 KT 미디어 그룹사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고, 글로벌 시장에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