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IST, 총장 이광형)은 최경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실제 직물 기반 웨어러블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개발, 신생아 황달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22일 밝혔다.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 황달 치료에 효과적인 470나노미터(nm) 파장의 청색 OLED를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직물 위에 구현했다. 직물 기반 청색 OLED는 4볼트 미만인 저전압에서도 황달치료에 충분한 출력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제품은 한 번에 100시간 넘게 사용할 수 있다. 물세탁이 가능할 뿐 아니라 2mm 수준의 낮은 곡률 반경에도 1000회 이상 견디는 유연성도 갖췄다.
연구팀은 이를 신생아 혈청에 쬈을 때 3시간 내에 황달 증상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황달을 앓았던 신생아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도달했다는 설명이다.
또 기존 병원에서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LED) 황달 상용 치료기기와 비교했을 때 OLED가 비용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기존 LED 빛 치료법은 신생아와 부모가 떨어져 있어야 하며, 치료 중 모유 수유를 중단하는 것은 물론 망막 손상 방지를 위해 신생아 눈을 가려야 한다.
최경철 교수는 "OLED를 응용한 바이오 헬스케어 시대에 맞는 기술"이라며 "국내 OLED 기술이 계속 세계 선두를 유지하기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기술은 전용민 가천대 교수와 권정현 선문대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