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AI 연구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대표 김일두)은 자체 개발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칼로' 1.0을 세계 최대 오픈소스 커뮤니티인 깃허브에 공개했다고 1일 밝혔다.
칼로는 지난 10월 모바일용 앱으로 출시한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 '비 디스커버'의 기반으로, 1억2000만여장의 데이터셋을 학습해 다양한 화풍과 스타일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비 디스커버는 '달리'나 '미드저니' 등 기존 AI 이미지 생성기와는 달리 처음으로 출시된 모바일 버전 서비스로, 사용자 접근성과 이미지 생성 속도, 설치 용량 등에서 강점을 보였다.
이어 카카오브레인은 개발자들이 칼로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도 제공한 것으로, 내년 초에는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에 도움이 되는 '전문가용 버전' 공개도 앞두고 있다.
칼로는 다방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교육 및 발표 준비에 필요한 시각 자료 제작에 활용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설득력을 높일 수 있고, 신규 브랜드 로고 디자인 및 구조물 디자인 등 고도의 창의성을 요하는 산업군에서 영감을 주는 예술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카카오브레인은 내년 초 개선된 품질과 기능을 추가한 칼로를 오픈 API 형태로 공개하고, 지속적으로 텍스트-이미지 데이터셋 추가 학습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추가 기능으로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자연스럽게 제거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이미지 인페인팅', 기존 이미지를 보고 빛과 그림자, 주변 사물 등을 상상해 이미지를 확장할 수 있는 '이미지 아웃페인팅' 등을 준비 중이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이번에 공개한 칼로 모델로 AI 아티스트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카카오브레인은 세계적 수준의 AI 모델들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AI 생태계 발전 가속화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스태빌리티AI, 클라우드 활용해 생성AI 훈련과 보급 강화
- 네이버, 이미지 생성 등 최신 AI 기술 공유
- 스테이블 디퓨전, '스마트폰 앱'으로 등장
- 국내 첫 모바일용 AI 이미지 생성기 등장
- 이미지 품질 개선해 주는 AI도구 10가지
- 카카오맵, ‘로드뷰’ 영상 3D로 확장
- 카카오브레인, 의료영상 분야 초거대 AI 모델 연구 개발 속도
- 애니메이션 캐릭터 만들어주는 AI, 일본서 인기몰이
- 카카오, AI 국제학회서 올해 23편 논문 발표
- 카카오브레인-바이브컴퍼니 “생성 AI 작품이 국내 첫 잡지 표지 장식”
- 카카오브레인 “이미지 생성 AI와 의료 AI에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