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현 네이버웹툰 AI연구원이 웹툰 대체 텍스트 제공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네이버웹툰) 
박준현 네이버웹툰 AI연구원이 웹툰 대체 텍스트 제공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대표 김준구)이 시각장애인의 웹툰 감상을 돕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공개했다. 

네이버웹툰은 5일 열린 ‘제10회 2022 널리 세미나’ 웨비나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웹툰 대체 텍스트 제공 기술을 처음 선보였다.

국내에서 처음 도입한 ‘배리어프리 웹툰’은 약 18만개의 웹툰에 대체 텍스트를 적용해 내년 1월 베타 서비스를 시작,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한국어에만 적용되며 향후 언어를 확대할 계획이다.

배리어프리는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으로,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체 텍스트 자동 제공 기능 개발에 착수했다.

시각장애인에게 웹툰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웹툰의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시키고 이를 다시 청각 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네이버웹툰은 1년여간 연구 끝에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시킬 수 있는 ‘AI를 활용한 웹툰 대체 텍스트 자동 제공’ 기술을 개발했다. 텍스트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은 스마트폰 운영체제(OS)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보이스오버’나 ‘톡백’ 기능으로 실현 가능하다.

네이버웹툰은 대사를 누가 했는지 알 수 있는 화자 추론 기능과 대사가 없는 컷에도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장기 목표로 삼고 있다.

김대식 네이버웹툰 AI 리드는 “대체 텍스트 제공은 네이버웹툰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지키기 위한 기술적 노력의 일환”이라며 “장애나 언어 등의 장벽 없이 누구나 웹툰을 창작하고 감상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위해 글로벌 1위 스토리테크 플랫폼으로서의 책임과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