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대표 박원기, 김유원)는 대규모 디지털 트윈 솔루션 '아크아이'를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출시한다고 23일 발표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과 똑같은 디지털 세계를 구축한 메타버스를 의미하는 말로, 이를 통해 현실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분석·예측하는 기술을 말한다. 산업과 의료, 사회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아크아이는 네이버랩스의 실내외 매핑 로봇, 백팩 등 기기를 통해 쇼핑몰, 공항, 지하철역, 고층빌딩 등 큰 규모의 공간을 매핑 및 측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일상 공간을 디지털 트윈으로 구축하길 원하는 기업과 단체가 늘면서 핵심 기술, 전문 장비,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밝혔다.
▲매핑 로봇, 백팩 등 디바이스 ▲디지털 트윈 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기반 측위 API ▲2D 지도 제작 도구까지 클라우드 완전 관리형으로 제공한다. 공간 데이터 설계, 프로세싱, API 서비스 등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모든 단계는 기능별로 세분화해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가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보안과 확장면에서 유리하다.
사업자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영역을 고도화하거나 일부를 변경할 때는 필요한 부분만 작업할 수 있다. 요금은 리소스 사용량만큼 부과돼 부담도 덜 수 있다고 네이버클라우드는 설명했다.
아이아이 기술은 네이버 제2사옥인 테크컨버전스 빌딩 '1784'에 이미 적용됐다.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는 지난 6월 아크아이와 로봇의 이동·서비스 등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아크브레인' 기술의 상용화 계획을 밝히고 1784에서 실증·개선 작업을 거쳤다.
한상영 네이버클라우드 상무는 "네이버의 디지털트윈 솔루션은 글로벌에서도 인정받는 R&D(연구·개발) 기술력과 다양한 공간에서 실제 테스트를 거치며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가 모두 집약돼 있다"며 “클라우드 완전 관리형으로 출시, 별도 설치 없이도 콘솔에서 데이터 프로세싱부터 API 생성까지 지원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향후 네이버랩스의 핵심 기술을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상용화, 기술력을 글로벌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네이버랩스, 국립중앙박물관 AR 전시 구현
- 리서치네스터, 메타버스 2022~2031년 연평균성장률 45% 예측
- 메타버스와 디지털트윈의 결합은 새로운 연구개발 패러다임
- '메타버스'...옥스포드 올해의 단어 최종 후보 올라
- ETRI, '디지털 트윈'으로 세종시 정책 수립 지원
- 네이버, 시각장애인도 웹툰 볼 수 있는 '배리어프리' 기술 공개
- 자갈치시장에 인공지능·디지털 트윈 기술 도입
-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단독대표 체제로
- 네이버클라우드, IBK기업은행에 ‘뉴로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구축
- 팀뷰어, 산업용 AR 솔루션으로 애플망고 디지털 전환 지원
- 네이버클라우드, 상반기 글로벌 AI 학회에 61건 논문 채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