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이 개발한 ‘고성능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 2종. 왼쪽부터 DMC용(오른쪽), ADAS용 렌즈 (사진=LG이노텍)
LG이노텍이 개발한 ‘고성능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 2종. 왼쪽부터 DMC용(오른쪽), ADAS용 렌즈 (사진=LG이노텍)

LG이노텍(대표 정철동)은 글로벌 자율주행용 카메라 모듈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고성능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 2종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LG이노텍은 플라스틱 렌즈를 적용해 크기를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용 카메라 렌즈는 주행보조, 운전자 움직임 인식을 위한 자율주행 솔루션의 핵심부품으로 탑승자의 안전에 직결된다. 특히 유럽에서 2025년 이후 전 차량에 대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을 장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국제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다.

이번에 LG이노텍은 DMS용과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용 2가지를 개발했다. 내부에 얇은 플라스틱과 유리를 교차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LG이노텍은 유리로만 제작한 기존 자율주행용 렌즈와 달리 이번에 개발한 렌즈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했다.

이를 통해 내구성과 렌즈 성능은 유지하면서 두께를 기존 완전 유리 제품 대비 20~30%가량 줄였다. 온도에 따른 변화가 심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플라스틱의 단점을 극복하고, 두께를 줄여 미관도 좋게하는 효과를 거뒀다.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해 가격 경쟁력도 높일 수 있었다.

강민석 최고기술책임자는 "설계와 검증이 까다로운 렌즈 개발을 단기간에 성공한 점은 큰 성과"라며 "플라스틱이 지니는 한계를 혁신 기술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관련 시장에 반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관 기자 busylife12@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