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치시장 '5G 통신 디지털 트윈' 기반의 통합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사진=부산시설공단)
자갈치시장 '5G 통신 디지털 트윈' 기반의 통합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사진=부산시설공단)

자갈치시장에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등 첨단 기술이 도입됐다.

부산시설공단은 지난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해 온 자갈치시장 현대화건물에 대한 '5G 통신 디지털 트윈' 기반의 통합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작업을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시설물에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을 접목한 가상의 3차원 공간으로 구축해 가시화하는 기술로, 비용과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직접 적용하기 곤란한 다양한 인프라와 서비스를 3차원 공간을 통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설 운영 계획 수립에 매우 주요한 기술로 평가된다.

공단은 이번 공모 사업을 통해 5G 기반 해수 수질·대기질 측정 분석 서비스로 IoT(사물인터넷) 단말기로 자갈치시장에 유입되는 해수 및 대기오염도를 실시간 수집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자동으로 취수·공조 현황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화재 시에는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마련했다.

공단 관계자는 "디지털 트윈을 공단 주요 시설물에 적극 적용해 시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과 디지털 대전환 시대 공단이 더욱 쇄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설공단은 부산시,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삼우이머션, 네오텍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에 선정됐으며 국비 16억원을 포함해 모두 20억원을 투입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