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세계 경제에 기여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지만 남반구 국가들은 혜택을 받지 못할 전망이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남반구 국가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일부와 남아시아, 남미 지역 국가를 말한다.
세계경제포럼(WEF)은 16일(현지시간) 포럼 의제 가운데 하나로 '북반구와 남반구 간 AI격차 문제'를 제기하고 공동 대책 추진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냈다.
WEF는 보고서에서 AI가 2030년까지 세계 경제에 최대 15조7000억달러(약 1경9487조원)를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남반구에는 이런 AI의 혜택이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했다. 남반구 국가의 경우 기술 채택율이 북반구 국가보다 훨씬 낮기 때문이다.
AI에 힘입은 국내총생산(GDP)은 미국, 캐나다, 중국에서는 크게 증가하겠지만 남반구 국가들에선 완만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력이 더 큰 선진국은 AI도구를 개발하고 배포하기 위해 연구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남반구 국가들은 적절한 데이터 인프라나 강력한 기술 부문, 국가 수준의 관심 등 AI 개발 지원을 위한 환경을 갖추지 못해 AI 개발과 채택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영국 옥스포드 대학이 전 세계 181개국의 AI 도입 준비도를 평가한 결과에서 남반구 국가들이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WEF는 이런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AI 도입 준비도의 불균형이 글로벌 불평등 심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WEF는 AI 격차를 줄이기 위해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면서 세 가지 정책 방안도 제안했다.
첫째는 유익한 솔루션을 배포할 수 있도록 기본 AI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지방 정부와 국제구호단체들이 지역 역량을 평가한 뒤 전략적인 투자를 하는 방안이다.
둘째는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 교육을 활성화하고 대규모 온라인 교육과 연구기관의 우수한 네트워크 등 공개된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셋째는 미래 생태계를 향한 로드맵 안에서 각국의 정책 입안자와 기술 제공자, 개발 커뮤니티가 협업하는 방안이다.
WEF는 AI가 전 세계의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남반구의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행동하지 않는 한 AI격차는 계속 확대돼 많은 지역을 뒤쳐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