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
(사진=LG)

LG AI연구원이 전 세계 인공지능(AI) 연구자를 대상으로 ‘LG 글로벌 AI 챌린지’를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1일부터 4월 말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LG 글로벌 AI 챌린지는 ‘제로샷 이미지 캡셔닝’을 주제로 AI가 처음 본 이미지를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는지 평가하는 대회다.
 
제로샷 이미지 캡셔닝은 AI가 사람의 시각 인지 능력처럼 처음 본 사물이나, 동물, 풍경 등이 포함돼 있는 이미지를 봤을 때나 일러스트레이션, 그래픽 등 표현 방식이 다른 이미지를 봤을 때 기존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이해하고 유추한 결과를 텍스트로 설명할 수 있는 기술이다.
 
관련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면 이미지 인식 AI 기술의 정확성과 공정성이 향상되고 결국 사람들의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LG AI연구원은 설명했다.
 
이 기술은 초거대 AI가 등장하며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최근 화두가 된 생성형 AI 모델의 성능은 물론 이미지 검색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챗GPT처럼 AI가 스스로 이미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해시태그도 달 수 있는 이미지 캡셔닝 기술은 이미지 검색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LG는 제로샷 이미지 캡셔닝이 이미지를 텍스트로 표현하고 텍스트를 이미지로 시각화할 수 있는 초거대 멀티모달 AI인 ‘엑사원’의 기술 개발 생태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해 엑사원을 연구 중인 서울대학교 AI대학원, 이미지 캡셔닝 AI의 상용화 서비스를 공동으로 준비 중인 셔터스톡 등과 함께 이번 경진 대회를 진행한다.  
 
셔터스톡은 편향성과 선정성 등에 대한 AI 윤리 검증을 끝낸 이미지-텍스트 데이터셋 2만6000개를 무료로 제공한다. 이 데이터셋은 사진 뿐 아니라 일러스트레이션, 그래픽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어, 대회 참가자들은 저작권과 비용, 품질에 대한 고민 없이 AI 모델 최적화와 성능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경무 서울대 AI대학원 석좌교수는 “이미지 캡셔닝은 영상에 나오는 객체들의 관계부터 상황과 문맥까지 이해해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고 설명하게 하는 것으로 AI가 인간의 지능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라며 “이번 행사는 우리의 AI 역량이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국제적 리더십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진=LG)
(사진=LG)

더불어 LG AI연구원은 올해 6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리는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인 ‘CVPR 2023’에서 ‘제로샷 이미지 캡셔닝 평가의 새로운 개척자들’을 주제로 워크숍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LG AI연구원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 AI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계 전문가들을 비롯해 글로벌 석학들과 함께 이미지 캡셔닝 기술 연구의 방향성과 확장성, AI 윤리 문제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LG 글로벌 AI 챌린지 최종 수상팀은 이날 워크숍에서 성과를 발표할 기회가 주어진다.

김승환 LG AI연구원 비전랩장은 “세계적인 학회에서 영상 이해의 핵심 기술이자 기반 기술인 이미지 캡셔닝을 주제로 대회를 개최한 것은 LG가 컴퓨터 비전 분야의 글로벌 입지를 보여준 계기"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전 세계 AI 연구자들과 함께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 그리고 확장 가능성에 관해 함께 논의하는 장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