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SK텔레콤이 안정적인 지난해 실적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컴퍼니 진화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 17조3050억원, 영업이익 1조6121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유무선통신을 중심으로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 16.2% 증가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지분법 이익 감소 영향 등으로 60.8% 감소한 9478억원이다.

SKT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 12조4146억원, 영업이익 1조3211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각각 2.6%, 18.6% 성장했다. 별도 순이익은 8695억원을 기록했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6%, 10.9% 성장한 4조1563억원, 3057억원을 달성했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B2B 사업의 성장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유무선 통신 사업은 2022년 기준 5G 가입자 수 1339만명을 확보, 5G 이용 고객이 전체 고객의 50% 비중을 상회하는 등 이동통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SKB도 연말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932만명을 유치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디어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1조5373억원을,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2.5% 성장한 1조5086억원을 달성했다. 지난 12월 해외 진출을 시작한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도 12월 전체 MAU(월간 실사용자 수)의 10% 이상을 해외에서 유치하는 등 성과를 창출했으며, 올해 인앱 결제 도입을 통해 경제 시스템을 강화한다고 전했다.

따라서 SKT는 성장 궤도에 안착한 5대 사업군의 견고한 실적 상승세를 기반으로 2023년을 AI 컴퍼니 도약과 전환의 원년으로 삼고 가시적인 성과 창출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SKT는 ‘에이닷’을 통해 B2C 분야에서 국내 처음으로 한국어 GPT-3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달 중 '장기기억' 기술과 텍스트뿐 아니라 사진과 음성 등 복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술을 장착해 고도화에 나설 예정이다.

자체 개발과 병행해 국내외 유망 기업들과 챗GPT 등 언어모델 및 기반기술의 제휴를 추진, 에이닷을 고도화하고 올해 중 정식 서비스로 론칭할 예정이다.

또 UAM(도심항공교통) 사업을 미래 혁신 서비스의 중심으로 보고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을 결성하는 등 2025년 국내 최초 UAM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더불어 세계적인 UAM 기체 선도기업 조비 에비에이션과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김진원 SKT CFO는 “2022년은 SKT 2.0 출범과 함께 제시한 5대 사업군이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하며 성장 궤도에 안착한 한해였다"며 "올해는 견고한 실적을 기반으로 AI 컴퍼니로의 전환과 도약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