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사진=SKT)

통신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 교통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서초구청의 ‘디지털트윈국토 기반 교통영향평가 지원모델 사업’에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를 적용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가상공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교통대책에 적용한다는 계획으로, SKT는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 상태 및 수단 등을 파악하는 리트머스의 기술을 제공한다.

SKT는 리트머스의 위치 정확도를 개선했으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효율적이라 향후 위치정보사업에도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라고 전했다.  별도의 교통정보 수집장치와 조사인력이 필요 없고, 언제 어디서나 측정이 가능해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초구는 통신데이터 등에 기반한 교통영향평가 모델을 개발해 반포동 고속터미널 일대 재건축 사업 예정지 등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로 혼잡시간대 및 예측정보를 경찰과 서울시 등 유관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도심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T는 통신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차량 중심 서비스에서 전동 스쿠터 등 퍼스널 모빌리티와 보행자 등 다양한 이동 주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교통 및 유동인구 정보 등을 활용해, ▲도로 및 교통정보 생성·검증 ▲ITS(첨단교통시스템) ▲스마트 모빌리티(공유차량, 공유자전거 등)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신 데이터 기반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홍성 SKT 애드테크 CO담당은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생성·검증 기술을 기반으로 수요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정부 및 지자체 등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사업 분야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