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장관(왼쪽줄 가운데) 등 과기정통부와 4대 과학기술원 관계자들이 간담회를 열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왼쪽줄 가운데) 등 과기정통부와 4대 과학기술원 관계자들이 간담회를 열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종호 장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 총장과의 간담회를 통해 공공기관 지정 해제의 취지를 공유하고 향후 기관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과기정통부에서 장관 및 미래인재정책국장이 참석했으며, 4대 과학기술원은 총장과 기획처장 등이 참가했다.

과기정통부는 4대 과기원이 공공기관 해제로 인해 인사 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어 석학 등 전략적 인재 영입을 위해 별도의 자체 기금 등 예산을 편성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과기원 관계자들이 공공기관 지정 해제의 필요성 및 취지에 적극 공감하면서 운영 자율성 제고로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표현했다고 전했다. 자율성이 향상된 만큼 책임 의식을 가지고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국민들의 지지와 성원을 바탕으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성장해 온 KAIST는 앞으로도 글로벌 과학기술 핵심 인재양성 기관으로써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과기원의 오랜 숙원사업이던 공공기관 제외를 결정해주신 정부에 대단히 감사드리며, 이 기회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과 진정한 글로벌 연구선도 기관으로 나아가기 위해 과기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종호 장관은 “4대 과학기술원은 국가에서 지속 육성‧발전시켜야 하는 소중한 자산”이라며 “과기원이 세계 수준의 교육·연구기관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