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연구원들이 양자암호통신망 통합 기술을 시험하고 있다. (사진=SKT)
 SKT 연구원들이 양자암호통신망 통합 기술을 시험하고 있다.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제조사나 통신사, 국가에 관계없이 양자암호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제조사나 통신사, 국가가 다를 경우 양자암호통신망의 연결이 불가능했다.

SKT는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암호통신망을 하나의 통합망으로 가상화해 양자키를 제공하는 자동 제어ㆍ운용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SKT가 개발한 기술은 양자암호통신망 통합 기술에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해 양자암호통신 통합 가상망에서 경로를 계산, 양자키를 자동으로 암호화 장치들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 시험망인 코렌에서 실증을 완료했다.

양자암호통신망을 가상화해 자동 제어·운용하기 위해서는 양자암호장비와 소프트웨어 제어 플랫폼 간 표준이 중요한 요소다. SKT는 기술 개발 및 실증 완료한 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통신사와 사례 공유를 통해 표준화를 추진해왔다.

SKT는 양자암호통신망 통합을 위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에 두 개의 표준화 과제를 제안했고, 지난 3월 ETSI 산하 ‘산업표준그룹(ISG) QKD’에서 표준화 과제 채택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 표준화 과제가 글로벌 표준으로 승인될 경우 각 사업자가 개별로 구축한 양자암호통신망을 연동, 하나의 커다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전했다. SKT는 표준화 승인을 위해 서비스 연동, 품질관리 등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술을 지속 연구할 계획이다.

또 양자암호통신망 통합 기술 개발 및 표준화 과제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국내외 양자암호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글로벌 차세대 통신 표준 협의체인 ‘아이온(IOWN) 글로벌 포럼’에서 차세대 전송암호화 기술의 적용사례와 양자암호 실증 제안을 발표했으며, MWC23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 담당은 “2011년부터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을 시작, 소재·부품·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이번에 양자암호통신망 통합 기술을 개발한 것과 같이 앞으로도 시장을 이끌면서 양자암호통신 확산과 대중화에 지속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