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인공지능(AI)은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그리고 인간은 AI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이런 내용을 담은 포럼이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콘텐츠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24일 서울 중구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2023 콘텐츠산업포럼'을 열었다.
26일까지 사흘 동안 진행하는 이번 포럼은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한다. 최근 화두에 오른 AI와의 연결점을 찾아 정책과 게임, 이야기, 음악, 방송 등 5개 분야의 전문가 및 관계자가 발제에 나선다.
첫날 주제는 '정책'이었다. 김영보 가천대학교 신경외과 뇌과학연구소 교수, 장동선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교수,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기공학부 교수가 연설을 선보였다.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이 개회사로 포럼의 방향을 제시했다. "과연 콘텐츠 산업에서 인간만이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라는 거시적 질문으로, 콘텐츠 산업계의 고민을 대변했다. 또 "인간과 AI는 무엇이 다른가"라며 둘의 유사성에 대한 의문도 던졌다.
결국 인간과 AI가 나란히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대라는 점을 강조, 이런 분위기에 맞춰 이날 포럼 연설도 전체적으로 '공존'에 초점을 맞췄다.
첫 번째 연설에서 김영보 가천대 교수는 "AI는 향후 인간을 파괴하는 게 아니라 공존하는 법을 배울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김 교수는 AI는 결국 인간의 뇌과학 원리를 모방하는 것이라며, 거대한 뉴런 네트워크 구조가 그 예라고 지적했다. 동시에 "AI가 결국 인간의 가치와 사고 방식을 배우는 것이라면, 인간 특유의 '평화적인' 가치관까지 깨달아 어느 순간 경지에 오를 것"이라며 "결국 공존의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장동선 한양대 교수는 두 번째 연설에서 "미래가 어떻게 그려질지는 AI를 활용하는 방법에 달렸다"라며 발전하는 AI에 익숙해질 필요성을 내세웠다.
그는 "인간이 노동하는 시대는 끝나게 될 것"이라며,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을 AI가 대체할 거라고 말했다. 더불어 콘텐츠 창작에서는 AI가 "인간의 주의를 끌고 자극하는 콘텐츠마저 생성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지막 연설에서 감대식 KAIST 교수는 "창작과 같은 지적 노동력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인간의 업무 효율을 눈에 띄게 높여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AI의 원리는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서 약간의 변주를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생성해내는 식이다. 즉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콘텐츠에 가장 큰 자극을 느끼는 인간의 특성에 특화한 방식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생성 AI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 흥미로운 관점을 내놓았다. 강력한 AI 챗봇의 등장으로 '정보 검색'이 아닌 '정보와 대화'하는 시대가 왔다고 강조했다. 대화식으로 정보를 얻게 되면 결국 '추천 알고리즘'보다 한층 더 발전한 '개인 맞춤형 광고'까지 나아갈 수 있다며, "미래에는 당신 한 명만을 위한 광고가 실시간으로 생성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기존 전문 기술이나 직업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 근거로 생성에 필요한 '자연어 명령'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생성 AI도 결국은 인간의 프롬프트 명령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라는 논리다.
더불어 세 발표자 모두 입을 모아 '공존'의 길을 주장했다. 또 현재 우리가 기술의 혁명, 즉 '특이점'의 시기를 거치고 있다는 것도 공통적 의견이었다.
한편 2023 콘텐츠 산업포럼은 25~26일 게임, 이야기, 방송 등 콘텐츠 산업별로 세분화한 발표를 진행한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