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가 오픈소스 비영리단체 리눅스재단이 발족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라이즈(RISE, RISC-V Software Ecosystem)’의 운영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게 됐다고 1일 밝혔다.

라이즈는 개방형 반도체 설계자산(IP)인 ‘리스크 파이브(RISC-V)’를 활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출범한 조직이다. 첨단 반도체 생태계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다. 

삼성전자, 구글, 인텔, 엔비디아, 퀄컴 등 이번 RISE 프로젝트에 참여한 기업들은 리스크 파이브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리스크 파이브는 특정기업이 소유권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면 어떤 기업이든 무료로 반도체 설계에 활용이 가능하다. 관련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특히 리스크 파이브 기반 칩셋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구현이 쉬워지고 개발 및 유지에 필요한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어 향후 ▲모바일 ▲가전 제품 ▲데이터센터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RISE 프로젝트 의장인 앰버 허프만 구글 수석연구원은 “리스크 파이브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성능, 보안, 신뢰성, 상용성을 모두 갖춘 소프트웨어의 확보가 중요하다”며 “라이즈로 검증한 소프트웨어를 확보해 ‘리스크 파이브 생태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리눅스재단 이사회 멤버인 박수홍 삼성리서치 오픈소스그룹장은 “지속가능한 리스크 파이브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을 위해 라이즈 프로젝트에 참여해 다른 기업들과 협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라이즈 운영 이사회 멤버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구글, 인텔, 엔비디아, 퀄컴, 레드햇, 미디어텍, 안데스, 이매지네이션, 리보스, 사이파이브, 벤타나, 티헤드 등 13개 회사가 참여한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