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극빈층을 돕는 프로젝트가 인도에서 성행하고 있다. 핵심은 AI 챗봇은 뇌물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블룸버그는 14일(현지시간) 인도의 남부 뱅갈로르와 메와트 지역에서 비영리재단 오픈NyAI가 테스트 중인 AI 챗봇을 이용한 빈곤 퇴치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극빈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고 있으나, 실제로 지원금을 수령하는 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대부분 극빈층은 폐기물 재활용이나 청소부, 요리사들로 기본적인 용도로만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모국어 이외에 다른 언어는 거의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지원금을 타기 위해서는 말이 통하는 정부 관리와의 소통이 필요한데, 여기에서 뇌물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금을 포기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인도의 다양한 언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중인 오픈NyAI는 '챗GPT' 기반 '주갈반디(Jugalbandi)'라는 챗봇을 이용, 다양한 언어를 영어로 해석한 뒤 대형 언어 모델(LLM)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다시 번역해 메타의 '왓츠앱(WhatsApp)'의 음성 기능을 통해 지원금 수령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실제로 자야나가르 지역에 거주 중인 비자야라크시미라는 여성은 모국어인 칸나다어로 챗봇에 교육 장학금 수령 방법을 물었고, 잠시후 챗봇은 그녀의 15살 아들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을 모국어로 알려줬다. 요리사로 일하며 한달에 단돈 100달러(약 12만8000원)를 버는 그녀에게는 큰 기회가 생긴 것이라는 설명이다.

챗봇을 비롯해 AI는 농민을 위한 정보 전달과 시각 장애인을 위한 도구 등을 통해 현재 인도 지역 곳곳으로 퍼져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올초 열린 다보스포럼에서도 소개됐던 부분으로, 당시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는 "몇 달 전 미국 서부 해안에서 개발한 AI 모델이 현재는 인도 개발자에 전달됐다"며 “이렇게 빠르고 광범위한 기술 확산은 본 적이 없다. 우리는 기술이 세계의 곳곳에 도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약 16%가 극빈층으로, 언어와 기술의 벽이 큰 문제다. 따라서 인도 정부는 AI에 대해 규제를 추구하는 선진국과는 달리 불평등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소외된 사람들이 법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고, 농민들이 더 많은 수확을 거두며, 노동자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여러 종류의 AI를 도입하고 있다.
 
라훌 마탄 인도 재무부 디지털 고문 겸 로펌 트라이리걸 책임자는 "수십억명이 기술에 뒤처져 있지만, AI는 그들이 읽고 쓰는 능력과 기술 지식의 장벽을 뛰어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AI 개발 금지나 전면 규제는 아직 인도의 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