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소르본대학교에서 열린 '파리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을 구체화한 파리 이니셔티브를 선언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AI 윤리 규범 정립이 화두가 되는 가운데, 유럽을 대표하는 석학들과 함께 디지털 규범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글로벌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했다.
윤 대통령은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질서 정립을 위해 디지털 규범에 대한 구체성있는 원칙들을 제시하고, 글로벌 차원의 규범 정립을 위해 국제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또 AI만 국한하지 않고, 데이터와 컴퓨터 역량, 디지털의 기초부터 심화까지 모든 영역을 망라하면서 디지털의 어느 단계에 있는 국가에게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성을 강조했다.
구체적인 디지털 질서 규범 정립의 9가지 원칙으로 ▲자유·후생 확대 ▲자유로운 거래 보장 ▲디지털 격차 해소 ▲공정한 접근과 보상 ▲적정한 위험 규제 ▲불법행위 제재 ▲긴밀한 국제사회 협력 등을 내세웠다.
또 디지털 개발·사용에는 적정한 규제 시스템이 필요하며 규제 위반은 불법 행위로 '강력한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뉴욕대 디지털 비전 포럼과 UN 연설에서 새로운 디지털 질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글로벌 공론장을 통한 디지털 규범의 정립을 촉구한 바 있으며, 이후 B20 서밋, 두바이 미래포럼, 다보스 포럼, 하버드대 연설로 이어지면서 점차 구체화해 왔다. 파리 디지털 비전 포럼 역시 이런 행보의 연장선상에 이뤄진 것이다.
이날에는 글로벌 최고 철학자로 주목받는 마르쿠스 가브리엘 독일 본대학교 교수를 비롯해 AI 휴머니즘 분야의 프랑스 최고 전문가 다니엘 앤들러 교수가 참석했다. 또 모리스 레비 퍼블리시스 전 회장, 소설가이자 과학과 인문학 관점의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베르나르 베르베르, 한인 2세로 아시아계 최초 프랑스 장관을 지낸 플뢰르 펠르렝 코렐리아 캐피털 사장 등 프랑스를 대표하는 주요 인사들이 자리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