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의료 빅데이터 전문 미소정보기술(대표 안동욱)은 병원 및 의료기관에 AI 기반 판독문 자동 정형화 솔루션 ‘스마트TA’를 공급헸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통해 많은 의료 전문가들이 오랜 시간 매달렸던 수작업을 정확도 높은 자동코딩으로 제공, 의료인의 업무 만족도를 향상하고 환자 진료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미소정보기술이 개발한 ‘스마트TA’ 솔루션은 병원 및 의료기관, 기업 내외부의 잠자고 있는 다양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및 문서를 분류하고 자연어 처리를 통한 데이터 정형화로 병원 및 의료기관, 기업 등 데이터 자산화 및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데이터분석 솔루션이다.
코딩시 의료 전문 코딩인력 투입과 시간, 수작업에 따른 부담과 스트레스 등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TA를 자동화했다. 판독문 정확도까지 향상해 의료환경 개선 및 의료인의 업무만족도까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미소정보기술은 스마트TA를 통해 의료기관에는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교류 활성화, 자가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등 의료 빅데이터의 가치를 높여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TA의 주요 특징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에 대한 카테고리별 다중속성 분류와 데이터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지도학습과 도메인 특화된 언어 엔진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 한차원 높은 데이터 마이닝 서비스를 구현했다는 점을 꼽았다.
또 솔루션 차별성을 위해 문서내 언어규칙, 화자의 의도가 잘못 분류된 경우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완전 검증 가능 모델’과 특정 도메인 헬스케어, 반도체, 화학, 자동차, 디스플레이, 유통, 에너지, 환경 등의 경우 전문가 지식을 활용하여 학습 결과의 정합성 및 신뢰도 확보까지 제공한다고 전했다.
안동욱 미소정보기술 대표는 “비정형 데이터의 정형화를 통해 의료 빅데이터의 가치를 재창출하는 동시에 상급 종합병원 및 의료기관과 함께 환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소정보기술은 스마트TA를 활용한 병원, 의료기관의 판독문 도입 사례를 전파하기 위해 대한의료정보학회(회장 김대진)가 주최하는 춘계학술대회에 참가, 빅데이터를 기반의 헬스케어 분야 디지털전환과 혁신사례, 경험을 공유한다.
한편 스마트TA는 보건의료 외에도 국내 주요 콜센터의 비정형 텍스트 및 고객 CRM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지자체의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한 AI 기반 상권분석 시스템 구축, 가공식품 제조업 제품에 대한 고객의 평가 및 불만파악, 경쟁사 제품 평가, VOC 분석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