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공개한 고태용×라비 메타버스 패션 (사진=산업부)
지난해 11월 공개한 고태용×라비 메타버스 패션 (사진=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서울 DDP패션몰에서 유명 패션디자이너, 섬유패션 IT업계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메타패션 체험 및 창작, 창업,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하는 국내 최초 메타패션 플레이그라운드를 개소했다고 30일 밝혔다.

메타패션은 섬유패션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패션테크의 일종이다. 이에 관해 산업부는 지난해 11월 한선화와 라비 등 연예인들이 출연한 국내 최초의 메타패션 출시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황이슬×한선화 메타버스 패션 (사진=산업부)
황이슬×한선화 메타버스 패션 (사진=산업부)

메타버스의 확산과 함께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MZ세대들이 메타패션을 친환경 패션이자 확장 현실(XR) 경험으로 보고 있어, 향후 그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여 2030년에는 5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이번에 서울 동대문 DDP패션몰 5층에 문을 여는 메타패션 플레이그라운드는 체험존과 창작존으로 구성했다.

체험존은 디지털패션 창작물을 전시하고, 방문객이 직접 최신 메타패션 기술과 작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패션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도 손쉽게 메타패션을 경험해 볼 수 있으며, 메타패션을 증강현실(AR)로 가상 착장한 본인 모습을 촬영하고 이를 SNS에 업로드하는 체험도 해 볼 수 있다.

또 패션 메타버스몰에서 실제 판매 중인 가상의류를 구매하는 체험이 가능하며, 실제 오프라인 판매 매장을 방문한 것처럼 가상공간을 이동하면서 다양한 가상의류를 선택해서 구경할 수 있는 '버추얼 쇼룸'도 체험해 볼 수 있다.

창작존에는 고성능 PC 10대와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5종을 설치했으며, 패션디자이너와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이 자유롭게 창작활동을 할 수 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섬유패션이 제조의 틀에서 벗어나 서비스나 콘텐츠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라며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메타패션에 대한 정부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