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보이스피싱 등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막기위해 10월11일까지 경찰청 보이스피싱 특별 신고 안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경찰청은 3개월간 ‘전화금융사기 특별 자수·신고 기간’을 운영해 자수자에게는 형의 감경 또는 면제의 기회를 제공하고, 신고를 통해 범인 검거 등에 이바지한 경우 공적에 따라 최대 1억원의 검거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SKT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고객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신고 사례를 공유하고 유사 사례 목격 시 경찰 신고를 독려하는 보이스피싱 특별 신고 안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SKT는 이통사 최초로 2022년 12월 사이버위협대응팀을 신설한 뒤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고객 인지 강화를 목적으로 경찰청과 협력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보이스피싱 최신 범죄 사례 및 대처 방안을 담은 고객주의 안내 문자 발송과 보이스피싱 범죄에 노출된 고객이 SKT 대리점에 방문했을 때 적절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대처 매뉴얼을 제작 및 배포하는 등의 다양한 고객 피해 예방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SKT는 이통 3사 중 유일하게 인공지능(AI) 기반 음성 스팸필터링 서비스(VSFS)를 운영함으로써 음성 스팸 및 보이스피싱 전화가 고객들에 연결되지 않도록 전화연결을 차단하고 있다. 또 경찰청으로부터 보이스피싱 범죄 관련 번호들을 제공받아 고객이 범죄자로 전화를 발신할 경우 이를 차단하는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사진=SKT)
(사진=SKT)

이번 보이스피싱 특별 신고 캠페인을 통해 확보할 범죄 관련 번호 등 관련 정보들도 고객 보호를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신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고 문자와 유사한 내용 및 문자를 탐지해 보이스피싱을 사전 차단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사칭문자 및 전화 탐지 AI 모델을 연구 중이다.

이런 노력들을 바탕으로 SKT는 지난해 10만4990건의 보이스피싱 발신을 차단했으며, 이를 통해 약 767억원의 피해금액을 예방했다고 강조했다.

손영규 SKT 정보보호담당은 “SKT는 보이스피싱 대응 TF를 지난해 출범한 이래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행위 특성 파악 및 탐지연구를 강화해 왔다”며 “이번 경찰청 보이스피싱 특별신고 안내 캠페인을 통해 더 많은 고객들이 경각심을 갖고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노력에 함께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