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탑재될 ‘32Gbps GDDR7(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업계 최초로 24Gbps GDDR6 D램을 개발한데 이어, 업계 최초의 32Gbps GDDR7 D램 개발에도 성공하게 됐다. 이번에 개발된 32Gbps GDDR7 D램은 주요 고객사의 차세대 시스템에 탑재돼 연내 검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제품은 한층 향상된 고성능·저전력 특성을 갖춘 16Gb 제품으로, 기존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는 1.4배, 전력 효율은 20% 향상됐다.
GDDR D램은 그래픽·인공지능(AI)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응용처에서 사용되는 D램이다. 일반 더블 데이터 레이트(DDR) D램 대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이 많고 높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PC, 노트북, 게임 콘솔 등의 그래픽 영역뿐 아니라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요구하는 고성능컴퓨팅(HPC), AI, 딥러닝, 가상현실, 메타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PAM3 신호 방식'을 신규 적용해 데이터 입출력 핀 1개당 최대 32Gbps의 업계 최고 속도를 구현했다. PAM3 신호 방식은 기존에 활용되던 NRZ 방식 대비 동일 신호 주기에 1.5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32Gbps GDDR7 D램을 그래픽 카드에 탑재하면 최대 초당 1.5T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30GB 용량의 UHD 영화 50편을 1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속도다. 기존 최대 1.1TB를 제공하는 GDDR6 대비로는 성능이 1.4배 향상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열전도율이 높은 신소재를 EMC 패키지에 적용하고, 회로 설계를 최적화해 고속 동작으로 인한 발열을 최소화했다.
이로 인해 기존 GDDR6 대비 열저항이 약 70% 감소돼 고속 동작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한다.
32Gbps GDDR7 D램은 향후 차세대 HPC, AI,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GDDR7은 아직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의 표준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GDDR7을 먼저 내놓아 향후 표준 논의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GDDR7 등 GDDR은 고가의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대중화하기 전까지 그래픽 D램 시장에서 주요 제품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부사장은 “‘GDDR7 D램’은 워크스테이션, PC, 노트북, 게임 콘솔 등 우수한 그래픽 성능이 요구되는 응용처에서 더욱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프리미엄 그래픽 시장 수요에 맞춰 적기에 상용화하고 차세대 그래픽 D램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