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김영섭)는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모바일360 아시아태평양(M360 APAC)’ 콘퍼런스에서 김영섭 대표가 미래 디지털사회에서 통신사업자의 새로운 역할과 이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제안했다고 7일 밝혔다.
GSMA가 개최하는 M360은 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등 대륙별 모바일 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다. ‘디지털 퍼스트 미래를 선도하라’를 주제로 열린 이번 M360은 디지털전환(DX), 인공지능(AI), 6세대 이동통신(6G), 핀테크 등 디지털 시대의 미래를 논의한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며, KT가 호스트 스폰서를 맡았다.
이 자리에서 김영섭 대표는 ‘통신사 주도의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미래 디지털사회에서 통신사업자들이 추구해야 할 노력과 국가 디지털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할을 제시했다.
김영섭 대표는 “통신사업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위에 독점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얻는데 만족하는 동안 빅테크기업들은 통신기업이 구축한 인프라에 메신저, OTT, 자율주행, 인터넷 금융 등 혁신 서비스를 내놓아 디지털 생태계의 주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클라우드, AI, 자율주행 등 빅테크기업들이 주도하는 영역에서 대등한 IT 역량을 축적하고, 아직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에너지 등 영역에서 주도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KT는 ‘디지털혁신 파트너’라는 새로운 지향점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AI고객센터, 보안, 메타버스, 교통과 모빌리티를 주요 사업영역으로 선정해 Telco가 중심이 되는 디지털 영역을 목표로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김영섭 대표는 “통신사업자들이 미래 디지털사회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기 위해 홀로그램 통신, 도시나 국가 수준의 매시브 디지털 트윈, 딥러닝에 기반한 초지능 로봇, 양자암호통신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이 녹아든 세상으로 변화를 6G와 새로운 ICT로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32개 통신사와 함께 GSMA 오픈 게이트웨이에 참여해 개방형 API 시장을 열고 있으며, AI 반도체, AI인프라 소프트웨어, 버티컬 데이터를 보유한 스타트업들과 함께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인재 양성노력도 덧붙였다.
김영섭 대표는 ‘성공했다고 끝난 게 아니며, 실패가 치명적인 게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나가는 용기다’라는 윈스턴 처칠의 말을 인용하며 “개방성과 협력을 바탕으로 인류 삶의 가치를 증진하는 디지털서비스를 선제 제시하는 것, 그것이 미래 텔코의 존재이유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연설을 마무리했다.
한편 KT는 이번 행사에서 리벨리온, 모레, 콴다, 투디지트 등 4개 파트너사와 AI 풀스택 전략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특히 콴다와 투디지트는 이번 전시에 AI 풀스택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최초로 공개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