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최수연)는 올해 5월부터 일부 사용자 대상 순차적으로 테스트한 새로운 버전의 검색 UX(사용자 경험),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 사용자 대상으로 확대 적용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사용자 관심사를 기반으로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블록 중심의 에어서치를 바탕으로 한다. 연내 통합검색에도 일부 적용할 생성 AI 검색 서비스 '큐:'의 사용성까지 고려할 계획이다.
개편 핵심은 탐색형 검색 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검색 흐름을 선보이고, 이미지,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특화한 템플릿을갖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몰입감 있는 탐색경험을 제공하고 생성 AI 검색에 대한 사용 패턴을 만든다는 의도다.
이를 위해 ‘정답→탐색→발견’으로 이어지는 검색결과를 구조화하고, 스마트블록에서부터 생성 AI 검색 결과까지 유연하게 연결하기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특히 텍스트, 이미지 등의 크기나 스타일 등 시각 요소뿐만 아니라, 표시할 정보량이나 순서 같은 데이터 구성까지 최적화했다는 설명이다.
또 ‘패션' ‘맛집' 등 시각 정보가 주요한 주제의 결과는 이미지를 강조한 구조로 개선하고, ‘경제’ ‘비즈니스’ 등의 정보 탐색 시에는 텍스트를 우선 보여주는 미리보기를 적용해 만족도를 높였다고 전했다.
네이버는 앞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UX·UI 개편 후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시간과 탐색 비율, 체류시간등이 모두 증가했고, 콘텐츠 클릭 후 빠르게 검색 결과로 돌아오는 비율이 감소하는 등 탐색 품질 및 만족도가 늘어났다고 밝혔다.
향후 정보 유형에 따라 트렌드를 반영하고 탐색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UX와 인터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연내 통합검색에 적용할 큐: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답변을 요약 및 정리한 형태로 제공하고, 쇼핑과 플레이스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해 탐색 경험을 풍부하게 할 UX를 선보일 계획이다.
김재엽 네이버 서치 CIC 책임리더는 “생성 AI 검색으로 진화하며 기존 검색과 다른 사용성을 제공하려면, 기술적 요소 외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검색 환경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한다”라며 “네이버 검색은 최신 기술은 물론, 양질의 콘텐츠, 고도화된 UX가 모두 결합된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