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최수연)는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MOMRAH)로부터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맡아, 수도 리야드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팀 네이버의 첫 대규모 중동 사업이자, 스마트시티 필수 인프라’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을 한국 IT기업이 담당하는 사례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우리나라 정부와 지속적인 협업 기회 발굴 및 채널 역할을, 네이버랩스는 첨단 기술의 고도화를,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5년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를 비롯해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5개 도시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한다. 이는 ▲도시 계획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 사우디와 국내 기관 및 스타트업과 협업, 생태계를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우디의 트윈 플랫폼은 스타트업이나 전문 기관 등도 활용 가능한 오픈 플랫폼이다. 시뮬레이터를 통한 스마트시티 설계, 도시 물 관리, 실감형 부동산,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도로 단위 교통 정보, AI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사우디 법인 설립 및 중동 지역 클라우드 리전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의 정책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 역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 기반의 글로벌 진출도 보다 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이퍼클로바X 및 소버린A, 소버린클라우드 등 확대되면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역시 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 채선주 대외/ESG정책 대표는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탄탄한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 2의 중동 수출 붐을 이끌어 보겠다"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네이버가 IT 스타트업들의 중동 수출에 대한 다리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경제사절단을 동행한 사우디 국빈 방문 일정과 함께 성사, 국가 전략산업이자 민관 협업 플랫폼 모델인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수출 1호가 됐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