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오랫동안 기다려 온 인공지능(AI) 행정명령을 다음주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연방 기관들의 AI 사용에 대한 지침과 AI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국가 안보 도구로서의 AI 역할 강조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과 워싱턴포스트 등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이 이런 내용의 행정명령을 30일 발표할 계획이라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행정명령에는 미국 정부가 주요 소비자의 지위를 활용, 연방정부 직원들이 첨단 AI 모델을 사용하기 전에 이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미 정부가 구매하는 대형언어모델(LLM)에 대한 평가는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NIST는 올해 AI 위험성 관리를 위한 체계를 발표한 바 있다.

또 테크업계가 엔지니어와 고숙련 노동자에 대한 이민 장벽 완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가운데, 미국의 AI 부문 기술 발전을 위해 고숙련 노동자에 대한 이민 장벽을 완화할 가능성도 있다.

한 소식통은 국무부도 AI 인재를 겨냥한 새로운 비자 프로그램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으며, 정부 기관이 현재의 AI 인력 규모에 대한 평가 작업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밖에 사이버 국방 강화를 위해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 평가하도록 국방부·에너지부·정보기관 등 연방정부 기관들에 요구하는 내용도 담길 수 있다.

다만 아직 행정명령 내용이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구체적인 내용이나 일정은 바뀔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행정명령은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오픈AI, 엔비디아 등 백악관 'AI 안전 서약'에 참여한 15개 업체의 자발적 약속에 기반할 전망이다.

지난 7월 발표된 이 서약에는 ▲AI 생성 파일에 워터마크 추가 ▲AI 오남용 모니터링 외부 팀 구성 ▲정부와 기업에 안전 정보 공유 ▲사이버 보안 투자 ▲보안 취약점 및 AI의 환각 및 편향성 문제 보고 ▲최첨단 AI 모델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우선 해결하는 안 등이 담겼다.

특히 이번 행정명령은 AI가 근로자를 대체하거나 국가 안보 위협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포함해 AI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미 행정부가 AI의 질서 있는 개발에 대한 추진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백악관은 지난 7월 행정명령 계획에 대해 처음 언급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이번 가을에 행정명령을 내놓고 초당적 입법을 위한 협업도 이어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미국이 책임 있는 AI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