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대형언어모델(LLM) '믿음'을 출시하고 인프라를 지원하는 클라우드팜 패키지를 내놓는 등 기업용 AI 시장에 출사표를 내밀었다. 전날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B2B 진출을 선언한 네이버와 초반 시장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됐다.
KT(대표 김영섭)는 31일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LLM ‘믿음(Mi:dm)’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출시 모델은 매개변수 2000억개(200B)의 LLM인 파운데이션 모델부터 가장 작은 70억개(7B) 경량 모델(sLLM)까지 4종을 준비했다. 기업 규모와 사용 목적에 맞게 이 모델을 미세조정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KT의 강점인 '풀스택'을 적극 활용한다. 즉 AI 전용 칩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미세조정 기술까지 모두 제공한다. AI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은 별도 개발 인원이나 학습 인프라가 없어도 기업 전용 'AI 클라우드팜(Mi:dm CloudFarm)'을 통해 AI 모델을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다.
기업의 비용 절감을 위해서 기존보다 27% GPU 학습 비용 절감이 가능한 HAC(Hyperscale AI Computing) 서비스와 추론 비용을 기존 대비 50% 절감한 리벨리온의 NPU 인프라 등을 투입한다. 또 기존에 한장으로 제공하던 GPU 서비스를 5분할해 0.2장 단위로 제공, 가격 부담을 줄이고 가변적인 활용이 가능한 추론 전용 ‘AI 서브(SERV)’도 출시한 바 있다.
기업의 AI 도입에 가장 큰 걸림돌인 환각 문제도 해결했다고 밝혔다.
▲도식화된 복잡한 문서도 모델이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다큐먼트 AI' ▲목표 도메인과 문서에 최적화된 최신 정보를 찾아내는 딥러닝 기술인 '서치 AI' ▲원문에 근거한 응답만 생성하도록 강화학습을 적용한 '팩트가드 AI' 등 기술을 투입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환각을 일반 생성 AI 서비스 대비 최대 70% 가까이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업 맞춤형 AI를 구축하는 데 핵심인 미세조정에서도 국내 최상급 실력을 선보였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KT는 이날 공개한 모델 중 7B 모델의 경우 한국어 LLM 순위인 '오픈 Ko-LLM 리더 보드'에서 최상위급 성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오픈 소스인 'KT-AI/midm-bitext-S-7B-inst-v1'은 허깅페이스 리더보드에서 직접 다운받아 미세조정해 볼 수도 있다.
이날 KT는 LLM 출시와 더불어 그동안 구축했던 AI 생태계를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즉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와 기업전용 LLM 사업화를, 콴다와 에누마와 교육용 LLM을, 비아이매트릭스와 기업용 업무 개인비서 영역을 넓히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허깅페이스 리더보드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한 업스테이지는 향후 기업용 미세조정의 베이스 모델로 '믿음'이 자리잡을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KT가 믿음을 오픈 소스로 개방한 것은 큰 결단"이라며 "이제까지는 메타의 '라마 2 7B'가 대표적인 미세조정 베이스였지만, 이제는 한국어에 특화된 믿음 7B가 국내 오픈 소스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B2B 시장 개척은 물론 파운데이션 모델 고도화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5년간 1조원을 투자, 1000억원대의 연 매출을 올리겠다는 목표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부사장은 “초거대 AI 시장은 세계적 빅테크 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참여하며 급격한 디지털 혁신이 진행되고 있다”라며 “KT는 차별화된 초거대 AI 모델을 개방하고 대한민국이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KT는 믿음 출시와 함께 수요 기업들이 사용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공식 웹사이트(Midm.kt.com)를 31일 오픈했다. 신청 기업들은 전문 컨설팅을 통해 사용 협의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KT의 B2B 시장 진출 선언으로 인해 국내 기업용 AI 시장은 본격적인 대기업 경쟁 체제를 갖추게 됐다. 전날인 30일에는 네이버가 LLM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내세운 기업용 AI 서비스에 나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네이버 역시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기업에 최적화된 AI를 개발하는 '클로바 스튜디오'와 강력한 보안과 미세조정 기능을 앞세운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 본격 서비스에 나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자체 LLM을 비롯해 앤트로픽이나 코난테크놀로지 등과의 제휴로 내년 B2B 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다.
LG는 LLM '엑사원'을 기반으로 지난 9월부터 유통·금융·제조 등 분야에서 기업 대상 AI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LG는 우선 그룹 내 계열사를 통해 유스 케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B2B 사업을 글로벌하게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 KT, UAM 5G 상공망 특화 안테나 개발 검증
- KT, 상인천중과 AICE 선도학교 파트너십..."디지털 네이티브화 이끈다"
- KT-현대건설-stc그룹 3자간 사우디 디지털 인프라 발전을 위한 MOU 체결
- KT-텔콤,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개발 MOU
- 델-메타, '라마 2' 기업용 온프레미스 구축 협업
- KT, 오픈 소스 국제 표준 ‘ISO/IEC 5230’ 인증 획득
- KT, AI 미디어 관제시스템 ‘어드밴스드 닥터지니’ 상용화
-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말뭉치 구축 사업단 심포지엄 개최
- 엔비디아, KT AI 모델 '믿음' 구축에 플랫폼 지원
- KT그룹, 리벨리온에 330억 투자… AI 반도체 '리벨' 개발 집중
- 리벨리온, AI 전용칩 ‘리벨’ 내년 출시…삼성과 패키징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