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가 지난주 처음으로 공개한 생성 인공지능(AI) '삼성 가우스(Samsung Gauss)’의 세부 기능을 전격 소개했다. 업무와 일상에서 사용자 편리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14일 삼성전자 서초 사옥 및 온라인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3(SDC23 Korea)'을 통해 지난 8일 ‘삼성 AI 포럼’에서 처음 선보인 생성 AI 모델 가우스의 구체적 기능 및 요소를 소개했다.
먼저 가우스 '언어 모델'은 다양한 상황에 최적화한 크기로 모델 선택이 가능하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까지 지원한다. 나아가 'PDF 파일 원문 요약' '영어 메일 작성' '메일 내용 번역' '긴 글 한 줄 요약' 등 실제로 필요한 기능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코드 모델'은 삼성 내부 개발자들을 위한 ‘코드아이(code.i)’의 기반이 된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I'다. 코드아이를 이용할 경우 ▲챗 모드(Chat mode) ▲인라인 모드(Inline mode) ▲인터액티브 모드(Interactive mode) 등 세가지 방법으로 손쉬운 코드 생성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챗 모드는 채팅 기능을 지원, 자연어로 코드 관련 명령어 및 질문을 제시하면 코드아이가 답변을 내놓는다. 생성한 코드를 클릭해 편집창에 적용 가능하다. 인라인 모드는 함수 시그니처를 입력 시 인라인 코드를 제시해 주는 방식이다. 인터액티브 모드는 함수 시그니처를 입력, 단축키를 누르면 최대 5개의 후보 코드를 받아 볼 수 있다.
가우스 '이미지 모델'은 이미지 편집, 변환, 공유를 지원하며, 사진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지우거나 고화질로 복원하는 등 다수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 시작한 '원 UI 6.0 버전' 운영과 더불어 '삼성 스튜디오' 등 편집 기능을 총괄 지원하도록 고도화할 계획도 밝혔다.
특히 가우스 모델 기반 AI 기능은 점진적인 '온디바이스' 형태로 이뤄지며, 이에 따라 삼성전자 제품에 차례로 탑재할 계획이다. 온디바이스 AI의 강점은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이다. 중요한 사진이나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키노트 세션에서는 ▲지식 그래프 기반 데이터 인텔리전스 ▲모바일 갤럭시 UI 특장점 ▲타이젠 플랫폼의 발전방향 ▲타이젠 기반 스크린 제품의 연결 경험 강화 등 삼성 제품 선행 연구 기술 및 고객 경험 개선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어 ‘삼성의 플랫폼과 개방형 협력’을 주제로 ▲스마트싱스 개방형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경험 강화 ▲AI가 소프트웨어 보안에 미치는 위협과 기회 ▲소프트웨어로 바꾸는 미래 이동통신 기술 ▲기술 혁신을 위한 삼성의 오픈소스 활동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행사장에 마련한 부스에는 '비전 AI 기반 식품 인식 카메라 오븐' 및 오픈 소스 형태의 종합 헬스케어 솔루션 '삼성 헬스 스택(Samsung Health Stack) 등 최신 기술을 살펴보는 인파로 가득했다.
전경훈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은 “미래 기술의 키워드인 디지털 혁신을 실현하는 데 소프트웨어의 역할과 경쟁력은 앞으로 점점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AI, 데이터 인텔리전스 등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창출하는 선행 기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의 소통, 협력을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10주년을 맞이해 '편리성'과 '연결성'에 중점을 둔 ▲AI ▲스마트싱스 ▲헬스케어 ▲갤럭시 제품/서비스 등 다양한 세션을 열었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