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총장 임기철)이 국가 안보를 위한 소형·경량·저전력 3차원 라이다(LiDAR)와 인공지능(AI) 기반 표적인식 및 피아식별 SW 기술 개발에 나섰다.
GIST 미래국방과학기술연구센터(센터장 박기환 기계공학부 교수)는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인 ‘통신·GPS 음영 환경에서의 자율임무 수행용 초소형 지능형 드론 개발' 과제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이 공동 투자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주관 연구기관인 ㈜풍산을 포함해 9개 산학연 기관(풍산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5년간(23년11월~28년10월) 정부예산 244억 원을 지원받아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풍산 컨소시엄’은 ▲초소형 지능형 드론 ▲고분자 전고체 전지 ▲초소형·경량·저전력 3차원 라이다(LiDAR) ▲라이다·영상기반 위치 파악(SLAM) ▲인공지능(AI) 기반 표적인식 및 피아식별 SW 기술 ▲레벨 4수준(고도 자동화 단계)의 자율비행 등 6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과 모의 및 실제 환경에서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IST는 지난해 7월 ㈜풍산과 컨소시엄 구축을 마치고, 12월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과 협약을 체결했다.
GIST는 라이다 전문 기업과 함께 ▲초소형·경량·저전력 3차원 라이다 ▲AI 기반 표적인식 및 피아식별 SW 등 2개 분야를 개발할 예정이다. 5년간 약 72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다.
이들은 본과제의 핵심 센서인 ▲무기계(No-mechanical scanner) 반도체(Solid-state) 기반 초소형‧경량‧저전력 3차원 라이다 기술 ▲낮은 광량과 열악한 환경 상황에서 정확하고 빠른 신호 획득을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 기술 ▲라이다 발열 저감 기술 등 연구에 나선다.
GIST 박기환 교수 연구팀은 맵 기반 3차원 위치 파악(SLAM)과 동적·정적 장애물 탐지·회피를 위해 측정 거리 30m 이상과 충분한 각도 분해능(0.65도×0.65도 이하)을 갖는 3차원 라이다를 개발할 계획이다.
GIST 이규빈 교수(융합기술학제학부) 연구팀은 ▲표적 상태를 인식하고 피아를 식별하는 AI 기술 ▲맵 정보 및 표적 유형·위치를 시각화하는 기술 ▲운용의 편의성을 고려한 UI 기술을 연구한다.
한편 GIST 미래국방과학기술연구센터는 2018년 12월 육군 보병학교와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2019년 7월에 개소한 GIST-육군 협력연구센터로서 국방 분야는 물론 민간 분야에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민‧군겸용기술 영역의 다양한 과제 기획을 위해 지속적으로 육군과 협력해 왔다.
오덕환 기자 odh@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