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AI 시대를 이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머징 메모리(Emerging Memory)'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기술 개발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대표 곽노정)는 차세대 반도체를 연구·개발하는 조직 ‘글로벌 RTC’에 이재연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22일 SK하이닉스 뉴스룸을 통해 "이머징 메모리는 세대를 초월하는 가치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머징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 한계를 돌파할 새로운 특성의 메모리를 뜻한다.
이 부사장은 “사람의 뇌를 모방한 AI 반도체인 시냅틱 메모리 분야의 연구 역시 발 빠르게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AI 연산 시 메모리와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줄이고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ACiM 역시 우리의 연구 분야이며, 이 기술은 최근 학계와 산업계에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SOM(Selector-Only Memory)▲'스핀(Spin)' ▲시냅틱(Synaptic) 메모리 ▲컴퓨팅과 메모리 사이 경계를 없애는 기술인 ACiM 등을 통해 이머징 메모리 솔루션을 구현하고 있다.
이재연 부사장은 "AI,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기술의 성장으로 인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발생하고 전력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도 지적했다.
이머징 메모리 뿐만 아니라 차세대 컴퓨팅에 대한 기반 연구도 강조했다.
다운턴 위기를 기회로 바꾼 고대역폭메모리(HBM)의 TSV기술처럼 미래를 위한 다양한 핵심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AI 열풍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도 큰 기회"라며 "어떻게 급변할지 모르는 미래를 대비해 다른 핵심 기술 개발에 힘써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최근 대만 TSMC와 손잡고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생산과 첨단 패키징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