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만든 이미지와 동영상은 구분이 불가능하다. 내가 사기에 관심이 있었다면 역대급 성장을 기록한 산업이 됐을 것이다."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4일(현지시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사기성'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낯선 사람에게 돈을 요구하는 AI 생성 비디오를 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비디오 속 모습은 자신과 너무 흡사해서, 그런 식으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는 가족을 빼고는 자신이 아니라는 것을 분별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정신 나간 상황이라면, 나라도 돈을 보냈을 것"이라고 재치 있게 덧붙였다.
버핏 회장은 또 AI의 출현을 원자폭탄의 생성에 비유했던 지난해 발언을 되풀이 했다.
“핵무기를 개발할 때 우리는 램프에서 '지니'를 꺼낸 셈”이라며 “AI도 비슷하다. 지니를 다시 램프 안으로 집어넣는 방법을 알지는 못한다"라고 말했다.
'챗GPT'가 출시되기 몇 년 전부터 AI의 엄청난 잠재력을 선전했던 그는 자신이 기술 전문가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나는 AI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AI의 존재나 중요성 등을 부정한다는 뜻은 아니다”라며 "AI는 선을 위한 엄청난 잠재력과 해를 끼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다"라고 마무리했다.
한편 버크셔는 이날 공시한 실적자료에서 지난 1분기 기준 1890억달러(약 257조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역대 최고치다.
또 버핏은 1분기에 1억1600만주가 넘는 애플 주식을 매각, 애플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도 받았다.
하지만 그는 "극적인 일이 발생하지 않는 한, 우리는 애플을 최대 투자 대상으로 삼을 것"이라고 답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