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영화의 포스터를 인공지능(AI)이 다시 그려내면 어떤 모습일까.

크레비쥬(대표 김경환)는 최근 영화계를 달군 영화 4편 '범죄도시4' '파묘' '듄' '댓글부대' 등의 포스터를 생성 인공지능(AI)으로 재탄생했다.

쉬운 작업은 아니었다. 이미지 생성 AI가 모든 영화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작업을 주도한 박명훈 크레비쥬 이사는 "초기에 영화의 시놉시스만으로 포스터를 만들어 보려고 시도해 보았지만, 제대로 된 이미지가 나오지 않았다"라며 "특히 한국영화의 경우 미드저니는 거의 인식하지 못했다"라고 전했다.

"차선책으로 영화 장르나 영화 장면의 특징 등을 시놉시스와 섞어 생성을 시도했다"라며 "수백장을 뽑아본 뒤 의미 있는 결과물만 골라 제목을 입혔다"라고 설명했다.

즉 영화 포스터의 경우 스토리 라인으로는 의도한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는 말이다. 이보다는 영화의 한 장면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가 핵심으로 작용했다.

아래 이미지는 모두 미드저니로 생성한 결과물이다. 먼저 기존 실제 포스터를 제시한 후 AI 포스터를 배치했다.

범죄도시4 공식포스터 (사진=에이비오엔터테인먼트,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범죄도시4 공식포스터 (사진=에이비오엔터테인먼트,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photo_of_a_man_waist-high_a_fat_and_big_guy_sports-hair, Big Two South Korean detectives are sent to Vietnam to extradite a suspect where they uncover a series of connected murders and crimes against tourists. john wick style chaos 50 stylize 750 (사진=크레비쥬)
photo_of_a_man_waist-high_a_fat_and_big_guy_sports-hair, Big Two South Korean detectives are sent to Vietnam to extradite a suspect where they uncover a series of connected murders and crimes against tourists. john wick style chaos 50 stylize 750 (사진=크레비쥬)

범죄도시의 코믹함 이면에 드리운 고독, 위험, 두려 등이 담겨 있는 포스터다. 기존보다 느와르 느낌이 강하다. 

 

파묘 공식 포스터 (사진=쇼박스)
파묘 공식 포스터 (사진=쇼박스)
In the mountains of Korea, a zombie samurai emerges crawling out of a desecrated grave. The time is dawn, with an ominous fog lingering in the air. Among Akji! A bizarre tomb located in a place that can never be buried by humans. Sangdeok feels ominous and refuses the offer, but with Hwarim's persuasion, the graveyard begins and... something that should not come out came out. chaos 60 stylize 600 (사진=크레비쥬)
In the mountains of Korea, a zombie samurai emerges crawling out of a desecrated grave. The time is dawn, with an ominous fog lingering in the air. Among Akji! A bizarre tomb located in a place that can never be buried by humans. Sangdeok feels ominous and refuses the offer, but with Hwarim's persuasion, the graveyard begins and... something that should not come out came out. chaos 60 stylize 600 (사진=크레비쥬)

어디선가 한번쯤 봤던 것 같은 전통적인 한국 공포물 포스터다. 영화 '곡성'도 이런 분위기였나.

 

듄 공식 포스터 (사진=워너브라더스)
듄 공식 포스터 (사진=워너브라더스)
a giant sandworm, desert, dune, a boy ride a giant sandworm, arakis planet, A boy who becomes the emperor who rules the universe looks down on the battle from a high place. stylize 750 (사진=크레비쥬)
a giant sandworm, desert, dune, a boy ride a giant sandworm, arakis planet, A boy who becomes the emperor who rules the universe looks down on the battle from a high place. stylize 750 (사진=크레비쥬)

실제 포스터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의 퀄리티를 자랑한다. 아무래도 AI는 외국 영화에 강할 수 밖에 없다. 요즘 생성 AI가 어느 정도인지 잘 보여준다.

 

댓글부대 공식 포스터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댓글부대 공식 포스터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A film poster based on the real-life incid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where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ere used in a leading and organized way to rig the outcom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a small, dark room, three criminals sit in front of laptops, manipulating public opinion. chaos 70 (사진=크레비쥬)
A film poster based on the real-life incid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where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ere used in a leading and organized way to rig the outcom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a small, dark room, three criminals sit in front of laptops, manipulating public opinion. chaos 70 (사진=크레비쥬)

'어둠 속 익명의 부대'라는 포인트를 살렸다. 실제 포스터는 출연진에 초점을 맞추고 추가 텍스트로 영화의 콘셉트를 설명했지만, AI는 이미지 하나에 영화의 배경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