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의 수소로 석유 8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1천500만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무한한 에너지원인 인공태양. 인공태양은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과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식 (사진=전남도)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과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식 (사진=전남도)

전남도가 인공태양연구시설 구축과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전라남도는 18일, 나주시와 한국가속기및플라즈마연구협회와 함께 도청 정약용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 황용석 한국가속기및플라즈마연구협회장, 안상현 나주부시장이 참석해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과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협력 의지를 다졌다.

전남도·나주시·한국가속기및플라즈마연구협회가 협력의 주축이며, 협약에 따르면 전라남도는 나주시 및 한국가속기및플라즈마연구협회와 함께 국가와 지역의 미래 에너지신산업을 선도할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한국가속기및플라즈마연구협회는 200명 이상의 대학교수와 연구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단체로, 국내에서 핵융합 관련 연구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협회 중 하나다.

황용석 협회장은 "국가 인공태양 연구거점 시설의 조성뿐 아니라 관련 기업 유치 및 기업 활동 지원에도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인공태양 산업의 발전과 이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한국을 포함한 35개국이 함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를 구축 중이다.

전남도는 인공태양 산업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연구기관 유치를 준비해왔다. 2022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에너지공과대학(켄텍)과 협력하여 ‘초전도 도체 연구시설 구축(2022~2028·498억 원·켄텍 초전도도체추진단)’ 사업을 확보했다. 이는 인공태양 연구와 관련한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전남특별자치도가 설치되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허가권한을 전남도로 이관받아 에너지 분권을 확보할 것이며, 인공태양 연구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현 나주부시장은 "쾌적한 정주 여건, 한전 및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등 산학연 인프라를 고려할 때 나주가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의 최적지"라며, "이번 협약식을 계기로 전남도와 학계가 더욱 공고히 협력하여 인공태양 연구시설이 성공적으로 구축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으로 전라남도는 인공태양 연구와 에너지신산업 육성에 있어서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전라남도가 미래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