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처음으로 시가총액 1위에 올랐지만, 브랜드 인지도는 여전히 낮다는 평가가 나왔다.

CNBC는 23일(현지시간) 2023년 말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브랜드 순위 조사에서 엔비디아가 100위 안에도 들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시가총액 5대 기업 중 100대 브랜드에 들지 못한 곳은 엔비디아가 유일하다. 시총 5대 기업 중 엔비디아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구글은 1~4위를 차지했다. 5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엔비디아는 현재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서 약 8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시총 3조3000억달러(약 4600조원)를 돌파해 MS와 애플을 제치고 시총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 다시 3위로 내려앉았지만, 현재 시총은 3조1000억달러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엔비디아가 B2B 기업이라는 점이 꼽힌다. 2022년 말 이후 주가가 9배 가량 상승한 엔비디아는 생성 AI 붐의 중심으로 급부상했지만 소수의 빅테크 기업을 주요 구매자로 두고 있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엔비디아의 기업가치 상승 속도와 그 과정에서 소비자와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점이 합쳐져 설립 31년이 된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그렉 실버먼 인터브랜드 글로벌 디렉터는 “최근 글로벌 무대로 진출한 제조업체로서 엔비디아는 브랜드를 강화할 시간도, 자원도 없었다”며 “시가총액이 높더라도 약한 브랜드 파워는 향후 가치 상승을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인터브랜드 측은 최근 12개월 동안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가 이전보다 4배 늘어나면서 올해 하반기 발표되는 순위가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다른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칸타 브랜즈가 지난달 진행한 100대 글로벌 브랜드 순위 조사에서 엔비디아는 6위를 기록했다. 이전 조사 대비 18계단 올랐다. 

마크 글로브스키 칸타 수석 브랜드 전략가는 “엔비디아는 대규모 기업 구매를 원하는 B2B 구매자들에게는 아이패드나 맥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애플만큼 의미 있는 브랜드”라고 말했다.

한편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서는 지난해 9월에도 블룸버그가 비슷한 지적을 한 바 있다. 특히 당시에는 많은 사람이 엔비디아를 ‘너비디아’로 잘못 읽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